[충북일보]최근 충북지역에서 분노범죄가 잇따르면서 개인이 외부 자극을 통제할 수 있는 심리적 기반을 갖추는 것이 중요하다는 의견이 제시되고 있다.
분노범죄는 어떠한 상황에서 분노를 조절하지 못하고 충동적, 우발적으로 범죄를 저지르는 것을 말한다.
대체로 분노범죄를 저지른 이들은 "화가 나서 그랬다"고 경찰에 진술하는 모습을 보였다.
지난 19일 청주시 오송읍의 한 길거리에서 70대 남성이 평소 알고 지내던 지인을 흉기로 살해했다.
이 사건의 피의자로 지목된 A씨는 경찰 조사에서 "본인을 무시해 화가 나서 그랬다"고 진술한 것으로 알려졌다.
청주시 사직동에서는 층간소음으로 갈등을 겪다 아랫층 이웃이 경찰에 신고하자 격분한 60대가 경찰조사를 받고 귀가한 뒤 이웃에게 콩기름 등을 들고 찾아가 방화위협을 하기도 했다.
화가 난다는 이유로 선거 현수막을 찢는 사례도 발생했다.
지난 16일 괴산의 한 길거리에서는 70대 남성이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통령선거 후보의 현수막을 찢었다.
당시 이 남성은 "현수막의 문구를 보니 화가 치밀었다"고 진술했다.
최근 몇 달 사이 끊이지 않는 분노범죄와 관련해 전문가들은 개인의 가치관 충돌과 사회적 고립에서 비롯된 것이라고 진단했다.
손문성 충북도교육청 마음건강증진센터 전문의는 "분노범죄를 저지르는 피의자들은 자신이 평소 생각하던 내용과 맞지 않는 상황을 마주하거나 사회적으로 고립돼 있다고 느낄 때 폭력과 함께 분노를 극단적으로 표출하는 경우가 많다"고 말했다.
인터넷과 SNS의 발달도 이같은 범죄를 부추기는 요소로 지목됐다.
특히 누구나 온라인에서 쉽게 범죄 수단에 접근할 수 있다는 점, 범행 동기나 방법이 실시간으로 공유되고 확산되는 점 등을 우려했다.
그는 "자극적인 영상이나 기사, 범죄를 미화하는 콘텐츠에 노출되다 보면 일부 사람들은 '나도 저럴 수 있겠다'는 생각을 하게 된다"며 모방범죄의 가능성에 대해 경고했다.
증가하고 있는 분노 범죄를 막기 위해서는 자신의 상태를 정확히 알고 적절한 치료를 하는 일이 중요하다고 제언했다.
손 전문의는 "지역 광역 심리센터 등에서 상담과 약물 치료를 받을 수 있다"며 "분노조절 장애 진단을 받았다거나 충동성 조절이 어려울 경우 주변 병원과 센터에서 도움을 받아야 한다"고 덧붙였다. / 전은빈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