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자과학기술 산업 생태계 발전 포럼이 9일 청남대에서 열린 가운데 참석자들이 퍼포먼스를 펼치고 있다.
[충북일보] 충북도가 전략 산업인 반도체·이차전지·바이오산업을 토대로 양자기술 산업 생태계 조성을 추진한다.
도는 9일 청남대 대통령기념관 영빈관에서 양자과학기술 산학연 전문가들과 함께 '과학기술 중심에 서다! 충북 퀀텀 점프를 위한 양자과학기술 산업 생태계 발전 포럼'을 열었다.
이날 '국가 양자과학기술 정책 방향'을 발표한 정재욱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양자기술개발지원과장은 "양자기술은 2000년 초반부터 양자 계측·제어 기술 발달을 계기로 조만간 산업 태동기에 진입할 전망"이라며 "골든타임을 놓치지 않고 적기에 대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우리의 강점인 정보통신기술(ICT) 인프라와 반도체 역량을 활용해 빠르게 기술을 추격해야 한다"며 "선도국 파견 등을 통해 양자 특화 핵심인력 중점 육성과 국가 비전, 투자 전략을 조속히 마련하겠다"고 설명했다.
김기웅 충북대 물리학과 교수는 '충북 양자산업 활성화 방안'을 통해 "충북 주력 사업인 첨단반도체·융합바이오·친환경 모빌리티 등을 양자기술과 매칭하고, 청주 오창 방사광가속기와 연계로 지속 가능한 성장 모델을 구축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양자 전문 연구원 유치에 따른 의료, 바이오, 에너지 등의 지역 산업 육성에 힘써야 한다"고 덧붙였다.
주제 발표에 이어 '충북 양자과학기술 산업 생태계 발전 방안'에 대한 토론이 열렸다.
이순칠 한국연구재단 양자기술단장을 좌장으로 한국표준과학연구원,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이동통신 3사(KT·SKT·LGU+) 관계자와 김진형 충북도 과학인재국장이 다양한 방안을 논의했다.
김영환 지사는 "양자기술이 미래 산업의 게임 체인저로 부상하고 있다"며 "충북이 양자기술 산업 생태계 조성을 주도할 수 있게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양자는 물질이 갖는 에너지양의 최소 단위다.
양자기술은 더 이상 쪼개지지 않는 양자적 특성을 정보통신 분야에 적용해 보안·초고속 연산 등에 활용하는 차세대 정보통신기술인데 암호 통신, 컴퓨팅, 센서에 응용한다. /천영준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