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초 출범한 세종시출입기자단(간사 TJB 김세범 기자)이 왜곡된 언론문화 개선을 위해 잰걸음을 내딛고 있다. 사진은 최근 입주가 끝난 세종시 신청사 모습
ⓒ최준호 기자
[충북일보=세종] 세종시 출입 기자단(간사 TJB 김세범 기자)이 지난 달 초 출범과 함께 왜곡된 언론문화 개선에 나선 이래, 언론사 정화 후속조치에 잰걸음을 내딛는다.
시 출범 3년차 들어서도 '기자직'을 활용, 지역사회 곳곳을 돌며 폭언·갈취·공갈·협박 등을 지속 중인 언론이 적잖아, 언론 전반의 물을 흐르고 있다는 판단에서다.
실제로 최근 들어서도 충청권 모 언론이 출판물에 의한 명예훼손 및 업무방해 혐의로 500만원 벌금형을 확정받은 데 이어, 타 지역 언론이 일반 개인 사업소를 돌며 기사 무마를 조건으로 돈을 받는 등 도넘은 행태가 끊이지 않고 있다.
지난 3년간 뚜렷한 기준과 원칙없는 기자실 운영과 함께 언론사 난립을 방기한 데 따른 결과다. 인구 18만명 도시에 출입기자는 200여개사에 걸쳐 300여명으로, 전국 지자체 중 최고 규모다. 이합집산 세력을 규합, 원칙과 기준도 없는 7~8개 협회를 만들기도 했다.
광고를 위한 악의적 기사로 수사를 받고 형을 집행받고도, 집행 유예기간 중 버젓이 기자활동을 재개하는 모습도 적잖이 포착됐다.
세종시 출입 기자단은 최근 '하나의 통합 기자단'을 원하는 공직사회와 시민사회 열망을 반영, 전국 17개 광역지자체와 차별화된 기준안을 설정·제시했다.
소위 '기득권'으로 인식되고 있는 한국기자협회 소속 회원사로 통하는 옛 기준을 과감히 탈피했다.
지역발전의 진정성을 담은 순수 기획기사를 꾸준히 작성하고 해당 언론 현주소를 투명하게 공개하며, 범죄·수사 이력 등의 문제가 없는 언론 및 기자들과 왜곡된 언론문화 개선의 길에 나서겠다는 의지다. 기자단은 지난 18일 시청 목요 정례 브리핑을 통해 출입기자단 가입 및 기자실 출입 요건을 공개했다.
가입은 ▲대전·충남·북·세종에 본사를 두거나 지역본부 운영 ▲지자체 언론 등록 후 최소 2년 경과 ▲신문 등의 진흥에 관한 법률(문화체육관광부)상 결격사유 부재 ▲순수 기획기사(기관 보도·홍보자료 및 광고·악의성 보도 제외) 주간 2건 이상 게재 등을 필수요건으로 한다.
이어 ▲국무조정실 기자실 허용 7개 협회(한국기자·방송·온라인신문·인터넷신문·인터넷기자·인터넷신문방송기자·인터넷미디어협회) 및 한국지역인터넷신문협의회 가입 ▲(사)한국ABC협회 유가부수 4000부 이상(신문) 및 홈페이지 접속률 공개(인터넷 신문 및 방송) ▲랭키닷컴 지역뉴스 순위 50위 이내 등 선택요건 중 2가지 이상 해당 시 허용한다.
기존 규정인 한국기자협회 소속이 아니더라도, 신분의 문제가 없고 해당 언론사 현주소를 투명하게 공개하고 지역발전 기사를 꾸준히 작성하는 언론사에겐 문호를 개방하겠다는 뜻이다.
이 같은 구체화된 규정과 시스템을 갖춘 기자단 운영은 전국 최초다.
기자실 출입 요건은 국무조정실 기준에 맞춰 더욱 완화했다.
필수요건은 ▲상호 교환 확인 방식의 범죄·수사 경력 확인서 제출 ▲(사)한국ABC협회 가입, 유가 부수 공개 신문사 및 인터넷 접속률 공개 인터넷 신문·방송사 등 2가지다.
여기에 ▲포털사이트 네이버 기사 등재 가능 ▲랭키닷컴에 해당 언론 현주소(순위) 공개 ▲주간 순수 기획기사(기자단 가입요건과 동일) 2건 이상 꾸준히 보도 등 선택요건 3가지 중 2가지 이상 만족 시, 기자실 빈자리를 활용할 수있도록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