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교통대와 충북대의 통합을 반대하는 범시민비상대책위 관계자들이 통합 반대 구호를 외치고 있다.
ⓒ윤호노기자
[충북일보] 한국교통대와 충북대의 통합을 반대하는 범시민비상대책위원회가 본격적인 활동에 돌입했다.
대책위는 22일 충주시청 브리핑룸에서 '한국교통대·충북대 통합반대와 교통대 독자발전을 위한 100인 선언' 기자회견을 열었다.
이 자리에는 김세한 철도학교동문회장, 성기태·장병집 전 교통대 총장, 박일선 충북환경연대 대표, 최정식 이통장협의회장 등 30여명이 참석했다.
참석자들은 현재 진행되고 있는 양 대학의 통합이 사실상 충북대의 일방적 흡수로 귀결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대책위는 "교명과 대학본부를 모두 충북대와 청주로 한다는 결정은 청주과학대, 철도대와의 통합으로 발전하던 교통대를 사지로 내모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이어 "개인 간의 결혼도 이렇게 가볍게 하지 않고, 사기업의 통합도 이렇게 일방적으로 손해를 보지 않는데, 대체 누가 이런 통합을 진행하는 것인가"라며 분노를 표했다.
특히 대책위는 의왕에 있는 철도대학(현 교통대 의왕캠퍼스)이 충북대로 통합되는 것에 강하게 반발했다.
이들은 "한국교통대란 이름은 철도대가 충주대와 통합한 가장 핵심적 가치였다"며 "1905년 5월 제물포에 문을 연 '철도이원양성소'부터 시작된 한국철도의 역사를 '충북대'란 그릇에 담을 수 없다"고 주장했다.
또 청주간호전문학교를 모태로 한 청주과학대의 역사와 충주사범학교를 이어받은 충주공전의 역사를 헛되게 할 수 없다는 입장도 밝혔다.
대책위는 "대학이 지역발전과 지역경제에 미치는 직·간접적 영향은 대단하다"며 "이미 거점대학으로 흡수 통합한 상주, 삼척, 밀양 같은 중소도시의 경제적 위기와 인구감소를 볼 수 있다"고 경고했다.
대책위는 향후 서명운동과 설명회, 국회 청원 등 가능한 모든 방법을 동원해 통합을 저지하고 한국교통대의 독자 발전을 이루겠다는 의지를 표명했다.
아울러 의왕과 증평, 충주의 교통대 캠퍼스 소재지 인사들이 참여하는 범시민비상대책위원회를 구성하고 본격적인 활동에 나섰다.
대책위는 김경희 기업인협회 대표, 박일선 충북환경연대 대표, 최정식 이통장협의회장 등 8명을 공동대표로 하고, 김선탁 증평군의회 전 의장, 박종완 전 국회의원 등 11명을 고문으로 위촉했다.
자문위원과 지도위원 등도 구성해 조직체계를 완비했다.
충주 / 윤호노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