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 여자아이가 양손에 사과를 들고 있었다.
아이의 엄마가 "네게 사과 2개가 있으니 하나는 엄마 줄래?"라고 말했다.
그러자 아이는 고개를 갸웃거리더니 왼쪽에 든 사과를 한 입 베어 물었다.
그리고 엄마를 빤히 바라보다가, 이번에는 오른쪽 사과를 한 입 베어 물었다.
엄마는 깜짝 놀랐다. 아이가 이렇게 욕심 많은 아이인지 미처 몰랐다.
그런데 아이는 잠시 뒤 왼손을 내밀면서 말했다.
"엄마, 이거 드세요. 이게 더 달아요."
이 아이는 진정으로 사랑이 많은 아이였던 것이다.
만약, 엄마가 양쪽 사과를 베어 무는 아이에게 곧바로
"이 못된 것, 너는 왜 이렇게 이기적이니?"라고 화냈다면 어떻게 되었을까?
섣부르게 판단하고 행동하면, 아픔은 상처가 남을 수밖에 없다.
조금 기다리는 것 그것이 바로 사랑이다.
- 토마스, 기다려주는 사람
아들이 건강검진을 받은 병원으로부터 연락이 왔다고 했다.
중학교 때 수술받았던 곳에 음영이 보이니 병원을 내방해 정밀검사를 받아보라고 한다는 내용이다.
심장이 덜컹 내려앉는다. 중학교 때 수학여행을 다녀와서 응급실에서 발견한 뇌종양을 수술한 지 21년이나 되었는데…. 혹시나 하는 마음이 그 마음만으로도 지옥이다.
수면제를 먹고 침대에 누웠지만, 새벽녘까지도 눈이 말똥말똥하다가 눈을 감을 수 없을 만큼 뻑뻑해지더니 나중엔 감기지도 않았다.
아들에게 함께 가자고 전화하니 제 아내와 함께 가니 집에서 기다리라고 했다.
걱정되는 마음에 며느리에게 톡을 보냈다.
'며늘아기야 잘 있지? 항상 걱정되고 한편은 고맙다. 엄마도 병원 함께 가면 어떨까? 너의 의견을 물어보는 거야.
아들이 21년 전 뇌종양 수술을 하고 10년 정도 담당 의사를 찾아뵙고 추이를 살펴보았단다. 약 처방을 받거나 별도로 치료한 적은 없었다.
의사 선생님은 이상 소견이 없다고 말씀하셨고 음영은 수술한 자국이라고 했었으니 걱정하지 말거라.
오늘 밤 잘 자고 내일 병원 다녀와서 결과를 알려주길 부탁한다.'
카톡카톡, 며느리에게서 톡이 왔다.
'어머니, 너무 걱정하지 마세요. 내일 병원에 가서 소견까지 다 듣고 연락드리려고 저는 따로 말씀 안 드렸어요. 괜히 걱정하실까 봐요.
오랜만에 검사하는 거니까 정확히 듣고 가는 게 편할 거 같아서요. 아산병원까지 가는 거라 저도 걱정은 안 합니다. 괜찮을 거예요.
내일 다녀와서 좋은 소식으로 전화 드릴게요. 제가 아직 직장이라 문자로 답장 드립니다. 너무 걱정하지 마시고 오늘 저녁 푹 쉬세요. 내일 오후에 전화 드릴게요.
늘 마음 가득 감사하고 힘이 납니다.'
우리는 서로를 위로하는 마음을 톡으로 전했다.
아들 병원 진료 예약이 오후 2시인데 오늘처럼 시간이 더디 가는 것을 경험하기는 처음인 것 같다.
오후 3시 며늘아기에게 전화가 왔다. 음영은 수술 흔적이라면서 담당 의사 선생님께서 말씀하셨다고 전했다. 가슴에서 바윗덩어리가 툭 떨어져 나간 듯 홀가분하다.
며늘아기야 우리 살아가면서 판단은 신중히 하고 결과는 기다릴 줄 아는 느슨함에서 행복이란 걸 알아가자. 토마스의 글에 나오는 사랑이 많은 아이처럼….
내게 사랑으로 마음을 보이는 내 며늘아기에게 하트가 카톡카톡 날아왔다. 카톡카톡 빗방울 떨어지는 소리처럼 경쾌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