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인헌 괴산군수가 30일 기자회견을 열어 괴산댐 월류 피해에 대한 한국수력원자력의 책임있는 피해 구제 조치를 촉구하고 있다.
ⓒ괴산군
[충북일보] 괴산군은 30일 괴산댐 월류 피해에 대한 한국수력원자력의 책임있는 피해 구제 조치를 촉구했다.
송인헌 군수는 이날 군청 브리핑실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괴산댐 운영기관인 한국수력원자력은 괴산댐 방류에 따른 피해 보상을 책임지고 이행하라"고 강력히 요구했다.
송 군수는 "최근 환경분쟁조정위원회에 제기한 수해 피해 구제 요청이 받아들여지지 않았다"며 "피해 농민들은 몇 년째 온전한 일상으로 돌아가지 못하고 있어 참담한 심정을 이루 말할 수 없다"고 밝혔다.
하지만 "한수력은 이번 피해에 대해 홍수조절 기능이 없는 괴산댐의 구조적 한계를 이유로 책임을 회피하고 있다"며"피해자는 있으나 책임자는 없는 현실을 결코 받아들일 수 없다"고 강조했다.
송 군수는 "지난 2017년 괴산댐 방류로 침수 피해가 나온 뒤 6년 만에 유사한 피해가 반복됐다"며 "2023년 피해 규모만 430억원에 달하는데 한수원은 책임을 지지않은 채 현실을 외면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이어 "괴산군민들은 다가오는 6월 장마철을 앞두고 또 다시 유사한 피해를 겪게 될까 두려움에 떨고 있다"며 "한수원은 실질적인 피해 보상과 재발 방지 대책을 마련하고 1천억원이 소요되는 괴산댐 개량사업과 관련한 용역을 조속히 완료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그러면서 "괴산댐에 대한 근본적인 수해 방지 대책이 수립되지 않는 한 이러한 불안과 고통은 계속될 수 밖에 없다"며 "한수원은 즉각적인 행동으로 책임을 증명해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괴산댐은 지난해 7월15일 집중호우로 월류하면서 하류지역인 괴산과 충주지역 주민들이 물난리를 겪었다.
피해 주민들은 괴산군수해대책위원회를 꾸려 지난해 6월 환경부에 중앙환경분쟁조정위원회에 환경분쟁 조정을 신청했으나 한수원은 책임이 없다며 중조위 참여를 공식적으로 거부했다.
앞서 괴산군의회는 지난 17일 한국수력원자력의 중앙환경분쟁조정위원회 적극 참여를 촉구하는 결의문을 채택하기도 했다.
괴산 / 주진석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