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E, 대학과 지역 발전을 위한 신뢰가 먼저다

2025.03.30 15:08:47

정인훈

충북보건과학대 학생취업처장

최근 대학가는 RISE 체제 도입을 앞두고 새로운 도전에 직면해 있다. RISE 체제는 △지자체-대학 협력기반 지역혁신사업(RIS) △3단계 산학협력 선도대학 육성사업(LINC 3.0) △대학의 평생교육체제 지원사업(LiFE) △고등직업교육거점지구 사업(HiVE) △지방대 활성화 사업 등 기존의 대학 지원 사업을 통합해 지자체 중심으로 운영하는 방식이다. 이를 통해 '인재 양성-취·창업-정주'의 선순환 구조를 구축하고, 지역과 대학이 더욱 긴밀하게 협력할 수 있도록 한다는 점에서 기대가 크다.

그러나 변화의 과정에서 고려해야 할 부분도 많다. 기존 LINC 3.0 사업 등에 참여했던 대학들은 경쟁을 거쳐 선정된 후, 3년 동안 역량을 집중해 사업을 운영해 왔다. 6년(3+3) 지원을 전제로 장기적인 계획을 수립했지만, 3년 만에 지원 주체가 변경되면서 모든 것이 초기화되었다. 대학들은 새로운 체제에 맞춰 또다시 사업계획서를 작성하고, 기존 사업과의 연계성을 고민하며 대응해야 하는 상황에 놓였다. 이러한 변화가 대학들이 지속적인 혁신을 이어가는 데 있어 실질적인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세심한 조정이 필요하다.

필자가 몸 담고 있는 충북보건과학대학교는 RISE 체제에서 통합 지원되는 모든 사업을 수행한 충북 내 유일한 대학으로, 지역의 미래 산업과 연계한 혁신을 지속해왔다. 이차전지 부트캠프, 반도체·디스플레이 분야 혁신융합대학 사업 등 국가적 전략산업과 관련된 사업에서도 성과를 인정받았다. 특히, 충북도의 핵심 산업군에 맞춰 전국 최초로 이차전지과를 개설하며, 지역이 필요로 하는맞춤형 교육을 제공해왔다. 그 결과, 충북 지역 대학 중 정주 취업률 1위를 유지하는 성과를 거두었다.

이제 RISE 체제가 본격적으로 추진되면서, 대학들은 변화된 환경 속에서 새로운 방향을 모색해야 한다. 앞서 혁신을 주도해온 대학들과 이제 막 변화의 첫걸음을 내딛는 대학들이 동일한 방식으로 지원받게 되는 만큼, 대학별 특성과 역량을 고려한 정책적 조정이 필요하다. 대학마다 강점과 역할이 다르기에, 이를 반영한 차별화된 지원과 운영이 이루어진다면 더욱 효과적인 지역혁신 모델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지자체가 고등교육을 직접 관리하는 과정에서 대학과의 긴밀한 협력이 더욱 중요해졌다. 대학이 단순히 지원 대상으로 머무는 것이 아니라, 지역 발전의 핵심 파트너로 인정받고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하는 환경이 마련되어야 한다. 각 대학이 가진 고유한 경쟁력을 살리면서도 지역과 조화를 이루는 방향으로 정책이 추진된다면, RISE 체제는 대학과 지역이 함께 성장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다.

RISE 체제가 추구하는 방향에는 충분히 공감한다. 다만, 대학들이 그동안 축적해온 역량이 새로운 체제에서도 충분히 발휘될 수 있도록 세심한 정책 조정이 필요하다. 지역과 대학이 함께 발전할 수 있도록 신뢰를 기반으로 한 협력 구조가 마련된다면, RISE 체제는 지역혁신과 고등교육 발전의 의미 있는 전환점이 될 것이다. 변화의 과정 속에서 대학들이 안정적으로 정착할 수 있도록 정책적 배려와 조율이 이루어진다면, 지역과 대학 모두에게 긍정적인 성과로 이어질 것으로 기대된다.


이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

<저작권자 충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충북일보 / 등록번호 : 충북 아00291 / 등록일 : 2023년 3월 20일 발행인 : (주)충북일보 연경환 / 편집인 : 함우석 / 발행일 : 2003년2월 21일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무심서로 715 전화 : 043-277-2114 팩스 : 043-277-0307
ⓒ충북일보(www.inews365.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Copyright by inews365.com, In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