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을기업' 취지부터 살리자

2015.03.09 10:24:04

마을기업은 태생적으로 불안했다. 사회적경제에 대한 각 부처의 경쟁 분위기 속에 등장했다. 전국적으로 우후죽순 늘어나는 사회적경제는 본래의 취지를 잃거나 쇠퇴하기 시작했다. 현장의 면밀한 실태 파악이 부실했기 때문이다. 성과지상주의로만 흐르고 있었다.

마을기업도 마찬가지다. 사회적경제의 후발주자이면서도 기존의 시행착오를 답습했다.

마을기업은 사회적경제의 가장 기초 단계로 볼 수 있다. 기업이라는 이름을 달고 있지만 사실은 지역 공동체 활동에 초점이 맞춰져있는 사업이다.

전국에만 1천100곳이 넘는 마을기업이 있다. 그동안 1조원에 가까운 혈세가 투입됐다. 그럼에도 지난 5년 동안 경영난을 극복하지 못하고 문을 닫은 마을기업은 전체의 6.7%에 해당하는 75곳에 달했다. 나머지도 여전히 판로·운영난에 허덕이고 있다.

충북의 상황도 마찬가지다. 도내 69곳의 마을기업 가운데 평균 이상의 매출 실적으로 보이는 곳은 15곳이 전부다. 고용창출도 상당수가 농번기 단순 일용직이다. 단 1명의 고용 창출도 없는 마을기업은 17곳이나 됐다.

정겨운 농촌 인심은 옛말이 됐다. 마을기업의 부실한 운영 탓에 마을 주민 간 얼굴을 붉히는 사례도 속속 등장하고 있다.

마을기업에 대한 대대적인 정비가 필요하다. 지역 공동체 활성화라는 취지를 살리지 못 하고 주민에게조차 외면 받는 마을기업은 정리해야 한다. 소득 창출 여부는 그 다음이다. 마을기업은 개인 사업이 아니기 때문이다.

사업에 대한 추진 의지 없이 지자체의 지원만을 바라는 마을기업도 당연히 정비 대상이 돼야 한다. 농가 스스로도 제품뿐만 아니라 가공, 체험, 관광 등 연계 프로그램을 다각도로 개발해야 한다. 그게 특화전략이자 생존전략이다. 마을 구성원들이 참여해 지역경제를 활성화한다는 마을기업 사업의 취지이기도 하다.

10곳의 부실한 기업보다 1곳의 우수 기업이 낫다. 양적 성장에만 치중해서는 부작용만 쏟아진다. 선정·지정부터 운영·점검에 이르기까지의 세심한 관리가 절실하다. 이제는 양질의 마을기업 육성으로 눈을 돌려야 한다.


이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

<저작권자 충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PC버전으로 보기

충북일보 / 등록번호 : 충북 아00291 / 등록일 : 2023년 3월 20일 발행인 : (주)충북일보 연경환 / 편집인 : 함우석 / 발행일 : 2003년2월 21일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무심서로 715 전화 : 043-277-2114 팩스 : 043-277-0307
ⓒ충북일보(www.inews365.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Copyright by inews365.com, In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