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기사

이 기사는 0번 공유됐고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새 과목 신설보다 기존과목 세분화 중요'

고교학점제 선택과목 확대 방안 제기
한국교원대 포럼서 신소영·김영식 주장
"무분별한 과목신설 제도취지 왜곡"우려

  • 웹출고시간2022.02.14 17:44:22
  • 최종수정2022.02.14 17:44:22
[충북일보] 고교학점제가 안착하기 위해서는 선택과목 확대 방안으로 새로운 과목을 신설하기보다 이미 개설된 과목의 주제와 내용을 학생들의 학습수준·흥미·적성·진로 등에 맞춰 세분화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나왔다.

한국교원대가 지난 8일부터 10일까지 3일에 걸쳐 대면·비대면 방식으로 진행한 '고교학점제 실천방안 마련 포럼'에서 토론자로 나선 좋은 교사운동 김영식 공동대표는 "고교학점제를 소질과 적성에 따라 과목선택권을 확대하면서 누구든지 배우고 싶은 교과를 어디서든 배울 수 있다는 식으로 홍보하는 것은 제도의 취지를 왜곡시킬 수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고교학점제에서 과목선택의 폭이 늘어나는 것은 맞지만 학점제의 목적은 선택의 폭을 넓히는 것에 있지 않고 수업의 질을 향상시키는 것에 있다"며 "학교가 학생들이 원하는 과목을 무조건 개설해 줄 수도 없다"고 주장했다.

이어 "고교학점제 운영의 초점을 많은 과목 개설에 맞출 것이 아니라 기존 교과목을 세분화해야 한다"며 "고교학점제를 통해 과목개설수가 늘었다는 식의 홍보는 고교학점제에 대한 오해를 불러일으킬 수 있다"고 강조했다.

사교육걱정 없는 세상 신소영 정책팀장도 '성공적인 고교학점제 추진을 위한 6대 보완과제'라는 제목의 발제를 통해 같은 주장을 펼쳤다.

신 팀장은 "고교학점제는 개별 학생의 진로와 적성에 따른 과목 선택권을 확대해 모든 학생이 성장하는 책임교육으로 고교교육을 혁신하기 위해 도입됐다"면서 "고교교육이 기존 획일적 교육과정을 넘어 개별학생의 흥미·적성에 따른 과목수요를 충족하려면 선택과목 다양화가 필요하다"고 전제했다.

그러나 "과목 위계나 학생 수준 등을 고려하지 않은 상태에서 무분별한 선택과목의 양적 확대나 기존에는 없던 과목을 신설하는 병렬적 나열은 학습의 질 개선에 도움이 되지 않고, 지속 가능성 차원에서도 현실성이 떨어진다"고 진단했다.

선택과목의 양적 확대는 기존보다 많은 과목을 지도해야 하는 교사들의 부담을 가중시킬 뿐만 아니라 유동적인 학생들의 과목 수요에 맞춰 교사수급을 비롯한 학사운영의 안정성을 담보하기도 어렵다는 것이다.

또한 "희소과목, 소인수과목을 개설할 수 있거나 여러 과목을 개설할 수 있는 교원을 많이 보유한 학교를 시작으로 학교 간 서열화가 초래될 수 있다"고도 했다.

김영식 공동대표는 "고교학점제에서 과목선택권 확대는 기존의 교과안에서 주제나 내용수준을 세분화하는 방식으로 이뤄져야 한다"면서 신 팀장의 주장에 공감을 나타냈다.

김 공동대표는 "수학과목의 경우 기본수학 과목을 개설할 수 있게 한다거나 대수나 기하학 과목을 실생활과 연계해 가르치는 정도가 될 것"이라며 "학생의 관심을 불러일으키기 위해 중국 현대사의 이해, 한국 민주주의 발달 이해와 같은 심화과목을 개설하는 것도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신소영 팀장은 선택과목 다양화를 위해 "기존 국어과목으로 운영하던 '문학·화법과작문'을 '근대문학사', '논리적 화법과작문' '현대시의 창작' 등과 같이 세분화된 주제로 나눠 다루는 수업을 신설하는 방식"을 제안했다.

신 팀장은 선택과목에서 고교교육과정 범위와 수준을 벗어난 심화과목 개설에 대해서는 경계심을 드러냈다.

심화과목 개설은 일부 상위권 학생들의 대입을 위한 고교 내 선행교육을 공고화하거나 우열반 편성의 전략적 방편이 될 수 있다며 교육당국의 철저한 관리가 필요하다고 역설했다. / 이종억기자 eok527@daum.net
배너
배너
배너

랭킹 뉴스

Hot & Why & Only

실시간 댓글

배너
배너

매거진 in 충북

thumbnail 308*171

"대한민국 바이오 산업의 인프라 역할 선도"

[충북일보] "대한민국 바이오 산업의 인프라 역할을 해낼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김동일(56) ㈜키프라임리서치 대표는 준공 이후 한 달도 지나지 않았지만 국내외 관계자들의 방문으로 바쁜 나날을 보내고 있다고 담담히 말했다. 오송캠퍼스에 관심을 갖고 찾아온 미국, 태국, 벨기에, 네덜란드 스위스 등의 신약·백신 개발 관계자들의 견학이 줄을 잇고 있다. 김동일 키프라임리서치 대표가 청주와 바이오업계에 자리를 잡게 된 것은 지난 2020년 7월이다. 바이오톡스텍의 창립멤버인 김 대표는 당시 국내 산업환경에 대해 "이미 성숙단계에 접어든 제조업이 아닌 대한민국에 새로운 성장 동력이 되는 산업이 필요하다"고 판단했다고 한다. 그는 "당시 BT(바이오테크놀로지)와 IT(인포메이션 테크놀로지)라는 두 개의 큰 축이 보였다"며 "이가운데 BT가 글로벌 산업 경쟁력이나 발전 정도·세계 시장 진출 정도로 봤을 때 타 산업 대비 훨씬 경쟁력이 부족했다. 그래서 오히려 기회가 더 많지 않을 것이라는 판단으로 BT를 선택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김 대표가 업계에 뛰어들었을 당시만 하더라도 국내에는 실제로 신약을 개발하는 제약·바이오 분야의 회사들은 국내시장·제네릭 분야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