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기사

이 기사는 0번 공유됐고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여야 대선 주자, 지역 제조업 홀대하나

각 예비후보, 4차 산업혁명
SOC 관련 경제공약만 매몰
제조업 정책 언급은 없어
충북 경제, 제조업이 견인
산업 비중 51.1%·업체 수 증가세
"제조업은 현재 먹거리… 투자 필요"

  • 웹출고시간2022.02.08 20:16:05
  • 최종수정2022.02.08 20:16:24
[충북일보] "4차 산업혁명도 좋지만, 제조업에 너무 무관심한 것 아닙니까."

충북 도내 중소제조업체 관계자들이 여야 대선주자들에게 쓴소리를 쏟아내고 있다.

각 예비후보별 대선 공약에서 지역 제조업 육성·발전을 위한 고민은 보이지 않는다는 게 가장 큰 이유다.

오는 3월 9일 치러지는 20대 대통령선거의 예비후보들은 연일 경제 관련 공약을 내 놓고 있다.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예비후보는 △디지털 대전환 △부동산 △창업 △산업 정책으로 대표되는 경제 정책을 여럿 내 놨다.

이 예비후보는 사물인터넷, 임기내 311만 가구 공급, 중소기업 강화, 전기차·금융산업에 힘을 쏟을 것을 여러차례 강조했다.

충북 등 충청권 '지역'을 위한 공약도 물론 들고 나왔다.

충북과 연관이 깊은 경제 공약은 바이오·반도체 등으로 이어진 '충청권 첨단산업벨트' 조성과, 광역철도망 조기 구축을 통한 '메가시티' 추진 지원이다.

국민의힘 윤석열 예비후보의 경제공약 중 △일자리 △금융 △부동산 △에너지 정책도 눈여겨볼만하다.

윤 예비후보는 융합산업분야 중심의 신산업 생태계 조성, 민간주도 일자리 창출, 개인투자자 세제 지원 강화, 임기내 380만 가구 공급, 재생에너지·원자력 조절 정책의 추진 의지를 밝혔다.

충북 지역과 관련해선 충청권 광역철도 활성화를 최우선으로 꼽았다.

또 방사광가속기 산업클러스터 구축 등 더불어민주당 이 예비후보와 대동소이한 '지역 경제 활성화'의 청사진을 제시했다.

하지만 거대 양당 대선 예비후보 모두 '지역 제조업'과 관련한 언급은 없었다.

사물인터넷과 융합산업 등 4차 산업혁명과 관련됐거나, 철도·도로망 등 SOC와 연관이 깊은 것들이 다수를 차지했다.

현재 충북의 경제를 이끄는 산업은 제조업이다.

지난 2020년 기준으로 광·제조업은 충북 산업의 절반 이상인 51.1%를 차지한다. 전년보다 1.2%p 늘었다. 전국은 제조업 비중이 28.9%인 것과 비교하면 두배 가까이 높은 수준이다.

충북 산업별 부가가치 비중을 보면 전기전자 및 정밀기기 제조업이 23.0%로 가장 크고, 석탄 및 석유 화학제품 제조업이 11.2%로 그 뒤를 잇는다.

여기에다 중소제조업체가 다수를 차지하는 비금속광물 및 금속제품 제조업은 5.5%, 음식료품 및 담배제조업은 4.4%다.

도내 제조업체 수도 꾸준히 늘고 있다. 도내 제조업체 수는 지난 2013년 7천939개에서 2020년 1만431개로 31.4% 증가했다.

이 가운데 49명 이하 중소제조업체는 8천307개로 전체 제조업체의 79.6%에 이른다.

충북 경제를 지탱하는 산업은 제조업이며, 제조업 발전의 원동력은 중소업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도내 한 음식료품 제조업체 관계자는 "제조업이 산업의 근간이라는 것은 그 누구도 부정하지 못하는 사실일 것"이라며 "그렇지만 제조업, 특히 지역 중소 제조업체와 관련된 이야기는 이번 대선 과정에서 찾아보기 힘들만큼 소외받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코로나19 사태 이후 원재료 가격은 지속적으로 상승하고, 근로자를 구하는 것은 점점 어려워지고 있다"며 "도로를 놓고 신산업을 키우는 것은 '미래 먹거리'를 준비하는 것이고, 제조업을 살리는 것은 '현재 먹거리'에 대한 투자다. 제조업 육성을 위한 고민도 당부한다"고 전했다.

/ 성홍규기자
배너
배너
배너

랭킹 뉴스

Hot & Why & Only

실시간 댓글

배너
배너

매거진 in 충북

thumbnail 308*171

"대한민국 바이오 산업의 인프라 역할 선도"

[충북일보] "대한민국 바이오 산업의 인프라 역할을 해낼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김동일(56) ㈜키프라임리서치 대표는 준공 이후 한 달도 지나지 않았지만 국내외 관계자들의 방문으로 바쁜 나날을 보내고 있다고 담담히 말했다. 오송캠퍼스에 관심을 갖고 찾아온 미국, 태국, 벨기에, 네덜란드 스위스 등의 신약·백신 개발 관계자들의 견학이 줄을 잇고 있다. 김동일 키프라임리서치 대표가 청주와 바이오업계에 자리를 잡게 된 것은 지난 2020년 7월이다. 바이오톡스텍의 창립멤버인 김 대표는 당시 국내 산업환경에 대해 "이미 성숙단계에 접어든 제조업이 아닌 대한민국에 새로운 성장 동력이 되는 산업이 필요하다"고 판단했다고 한다. 그는 "당시 BT(바이오테크놀로지)와 IT(인포메이션 테크놀로지)라는 두 개의 큰 축이 보였다"며 "이가운데 BT가 글로벌 산업 경쟁력이나 발전 정도·세계 시장 진출 정도로 봤을 때 타 산업 대비 훨씬 경쟁력이 부족했다. 그래서 오히려 기회가 더 많지 않을 것이라는 판단으로 BT를 선택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김 대표가 업계에 뛰어들었을 당시만 하더라도 국내에는 실제로 신약을 개발하는 제약·바이오 분야의 회사들은 국내시장·제네릭 분야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