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동우체국 한우송 집배원이 6년째 사랑의 연탄을 소외계층 가정에 배달하고 있다.
ⓒ 영동군[충북일보] "한 번도 안 해본 생선장사에서 온 가족이 경력자가 됐습니다." 대구에 있던 라인옥(54)씨가 청주 가경터미널 시장에서 '신선수산'을 운영한 지 10여년이 됐다. 지금은 회사를 퇴직한 남편 이관희(58)씨와 함께 손님들을 맞이하고 있다. 당시 아이를 키우며 떡가게를 운영하고 있던 동생을 돕기 위해 인옥씨는 자녀들과 함께 청주로 올라왔다. 인옥씨는 "3년 정도 동생일을 돕다보니 맞은편 가게에 자리가 났다"며 "남편과 동생의 적극적인 추천과 지원으로 시작할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 인옥씨는 2011년 12월 가게를 시작했다. 생선가게를 하고자 마음 먹고 인수를 받기 전 한 달간 생선 손질을 배웠지만 이전까지 해본 적이 없던 그녀에겐 쉽지 않은 일이었다고 한다. 그녀는 "오징어 한 번 안 따본 사람이 한 달 배우고 장사를 했다"며 "앞에는 고객이 서있고 동태포는 제대로 뜨는 방법을 모르겠고 정말 등에서 식은땀이 줄줄 흘렀다"라고 그날을 회상했다. 다행히 초보 사장님인 인옥씨를 손님들은 보채지 않고 기다려줬다고 한다. 인옥씨는 "아직도 잊을 수 없는 분이 있다"며 "그날도 긴장해서 손도 떨리고 땀도 나며 동태를 뜨고 있었다. 꽁꽁 언 동태를
[충북일보] 서울~세종 간 고속도로 건설사업은 경기도 구리시 토평동부터 세종시까지 연결하는 191㎞의 고속도로를 건설하는 사업이다. 서울시 강동구 길동, 명일동, 고덕동 일대 지하를 대형 터널을 통해 관통한다는 계획으로 강동구 주민들이 고속도로 우회를 요구하고 있다. 현재 오는 2017년 예산안에 서울~안성 구간의 건설보상비 1천억원이 편성됐으며 전체 예산규모는 6조7천억 원이다. 정부는 사업기간 단축을 위해 서울~안성 구간(71.1㎞)은 도로공사에서 착수 후 민자사업으로 전환하고, 안성~세종(57.7㎞)은 처음부터 민자사업으로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서울~세종고속도로는 지난 2009년 건설계획이 최초로 제시됐으나 주민 반대와 사업방식에 대한 정부 내 이견으로 수차례 지연됐다. 그러다 지난 2015년 11월부터 국토교통부가 사업 추진을 서두르고 있다. 이런 가운데 국회가 서울~세종고속도로 사업진행 방식 자체에 대해 제동을 걸었다. 이는 당장 오는 2017년 관련 예산 편성 뿐만 아니라 고속도로 착공 자체도 상당기간 지연될 가능성이 높아 보이는 대목이다. 국회 예산정책처는 '2017년도 예산안 위원회별 분석' 책자를 통해 "설계비·공사비
[충북일보]코로나 고통 속에서 가계소득은 크게 줄어들고 있지만, 정부 세수는 폭발적으로 증가하면서 전국 곳곳에서 돈을 쓰기 위해 골머리를 앓는 곳이 있어 향후 적지 않은 논란이 예상된다. 국세청 등에 따르면 전국 17개 시·도의 올해 총 종합부동산세는 5조6천789억 원으로 지난해 1조8천148억 원 대비 무려 300% 이상 늘었다. 지난해 80억 원의 종부세를 납부했던 충북에서도 올해 880% 늘어난 707억 원을 부담하게 된다. 이처럼 종부세 하나만 놓고 보더라도 정부 세수는 해마다 폭증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문제는 내달 초 국회를 통과할 예정인 내년도 정부예산이 무려 600조 원을 돌파하고, 나랏빚도 1천100조 원에 달할 수 있다는 데 있다. 상황이 이런데도 지난해 편성된 올해 예산 중 일부가 전국 곳곳에서 '펑펑' 낭비되고 있는 사실이 드러났다. 일반 국민들은 1인당 25만 원씩 재난지원금을 받고도 '찝찝하다'는 생각을 갖고 있지만, 교육부는 오히려 예산을 쓰기 위해 골머리를 앓고 있어서다. 교육부는 올해 2차 추가경정예산을 통해 지방교육재정 교부금으로 6조 원이 넘는 금액을 편성했다. 이를 전국 17개 시·도교육청에 나눠줬
[충북일보] "궁긍적으로는 국민들의 편익이 향상됩니다" 한국국토정보공사(LX공사) 충북지역본부가 추진중인 지적재조사 사업은 '기관을 위한 사업'이 아니다. 토지를 이용하는 주체, 즉 국민·주민들을 위한 사업으로 추진되고 있다. 우리나라 국토의 14.8%는 토지의 현황과 지적이 다른 불부합지다. 이를 최신기술로 정확히 측량해 바로잡는 게 지적재조사다. 이익기 충북지역본부 지적재조사추진단장은 지적재조사가 '땅의 가치 상승'을 이끈다고 설명한다. 이 단장은 "토지 경계를 바로잡게 되면 진입로가 없던 토지에도 이웃 간 경계 조정을 통해 도로를 확보할 수 있게 되고, 건물도 증축할 수 있게 돼 지가가 상승할 개연성도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지적재조사를 통해 소유권 문제가 정리되면 도시재생 뉴딜을 적극 추진할 수 있는 동력이 되기도 한다"고 덧붙였다. 하지만 지적재조사에 대한 시선은 곱지만은 않다. 우선 '비용'에 대한 잘못된 인식의 영향이 크다. 지적재조사는 주민설명회와 토지소유자의 동의를 거쳐 진행된다. 국책사업으로 진행되는만큼 측량 등에 소요되는 비용은 전액 국가가 부담한다. 이 단장은 "사업진행과 측량 등기정리 등에 있어 토지소유자가 부담하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