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말 그린피 코스카 21만 원·대영베이스 17만원
지역 퍼블릭 중 요금 동결한 곳은 음성 썬밸리 뿐
타 지역은 지역 주민 할인… 충북은 'ATM 취급'
코로나19 사태로 최대 호황을 맞고 있는 충청권 대부분의 골프장들이 과도한 그린피 인상으로 골퍼들의 원성을 사고 있다. 26일 청주시의 한 골프장 주차장이 평일임에도 골프를 치러 온 손님들의 차량들로 가득하다.
ⓒ 김태훈기자[충북일보] 이승환 증평군4-H연합회 감사와 청주시 상당고등학교4-H회가 41회 충북도4-H대상 시상에서 각각 '대상'을 수상한다. 충북농업기술원은 코로나19 사태로 인해 당초 27일로 예정됐던 '41회 충북4-H대상 시상식'을 취소하고, 향후 수상자를 개별 방문해 시상할 계획이라고 26일 밝혔다. 올해 충북4-H대상 시상은 충북지역개발회 주최, 충북4-H본부 주관, 충북농업기술원과 본보가 후원한다. 충북4-H대상 시상은 도내 4-H회원들에게 긍지와 자부심을 심어주고 4차 산업혁명시대 충북농업을 이끌어갈 인재를 발굴·육성하기 위해 마련됐다. 올해는 유공자 표창(충북도지사상) 7점과, 대상분야 시상(영농기술 개발 8점, 우수활동 학교4-H회 3점) 11점 등 총 18점에 대한 시상이 이뤄진다. 유공자 표창은 △충북도4-H본부 윤영상씨 △영동군 새너울중학교 이용택씨 △증평군 형석고등학교 이중영씨 △단양군농업기술센터 신지영씨 △옥천군4-H연합회 이재용씨 △증평군4-H연합회 송명희씨 △단양군4-H연합회 이관식씨 등 7명이 수상한다. 영농기술 개발 분야는 △대상 증평군4-H연합회 이승환씨 △지혜상(충북지역개발회장상) 괴산군4-H연합회 박기범씨 △헌신상(")
[충북일보] 서울~세종 간 고속도로 건설사업은 경기도 구리시 토평동부터 세종시까지 연결하는 191㎞의 고속도로를 건설하는 사업이다. 서울시 강동구 길동, 명일동, 고덕동 일대 지하를 대형 터널을 통해 관통한다는 계획으로 강동구 주민들이 고속도로 우회를 요구하고 있다. 현재 오는 2017년 예산안에 서울~안성 구간의 건설보상비 1천억원이 편성됐으며 전체 예산규모는 6조7천억 원이다. 정부는 사업기간 단축을 위해 서울~안성 구간(71.1㎞)은 도로공사에서 착수 후 민자사업으로 전환하고, 안성~세종(57.7㎞)은 처음부터 민자사업으로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서울~세종고속도로는 지난 2009년 건설계획이 최초로 제시됐으나 주민 반대와 사업방식에 대한 정부 내 이견으로 수차례 지연됐다. 그러다 지난 2015년 11월부터 국토교통부가 사업 추진을 서두르고 있다. 이런 가운데 국회가 서울~세종고속도로 사업진행 방식 자체에 대해 제동을 걸었다. 이는 당장 오는 2017년 관련 예산 편성 뿐만 아니라 고속도로 착공 자체도 상당기간 지연될 가능성이 높아 보이는 대목이다. 국회 예산정책처는 '2017년도 예산안 위원회별 분석' 책자를 통해 "설계비·공사비
[충북일보] 충북도가 강호축 개발의 근거법인 가칭 '강호축 발전 특별법'(이하 특별법) 제정을 추진한다. 국가균형발전을 위한 강호축 개발에 나서도록 국가와 지자체의 책무를 규정해 관련 사업에 탄력을 붙인다는 구상이다. 현재 도는 특별법 초안 작성에 착수한 상태로, 강호축 내 8개 시·도(충북, 충남, 대전, 세종, 강원, 광주, 전북, 전남)가 참여하는 '강호축 발전포럼'과의 협의를 거쳐 내년 초께 초안을 완성할 방침이다. 강호축 발전포럼은 충청·강원·호남지역 간 협력체계 강화를 위해 지난해 9월 출범했다. 초안 세부내용은 아직 명확하지 않지만, 지난 2007년 제정된 '동·서·남해안 및 내륙권 발전 특별법'과 큰 틀에서 유사할 것으로 보인다. 이 법은 동·서·남해안과 충북 등 내륙지역을 동북아시아의 새로운 경제권과 국제적 관광지역으로 발전시키는데 필요한 사항을 규정하고 있다. 법에 따라 국가는 해안권 및 내륙권을 발전시키기 위한 종합적인 시책을 수립·추진하고 지원 방안을 강구해야 하며, 광역시·도는 지역주민의 참여와 다른 지자체와의 협력을 통해 해안권 및 내륙권을 발전시킬 수 있는 계획과 시책을 수립·시행해야 한다. 하지만 특별법 제정까지는
[충북일보] 단풍으로 물든 가을 산이 파노라마처럼 펼쳐지는 산기슭 도로변을 얼마나 달렸을까. 해발 350m쯤 이르니 '심순섭 할머니 된장'이라고 쓰인 입간판이 눈에 들어온다. 말간 가을 햇살이 600여개의 빼곡한 항아리 위로 뭉근하게 부서져 내린다. 항아리 속 장맛이 궁금해질 즈음 박해순 두리두리영농법인 대표가 환한 미소로 맞이한다. 마침 콩을 삶고 있었다는 박 대표는 커다란 솥 세 개가 있는 작업실로 안내했다. 커다란 나무주걱으로 솥 안을 휘휘 저으니 모락모락 피어나는 김과 함께 구수한 콩 냄새가 코 끝을 자극한다. ◇햇살·바람 맞은 상황버섯 된장 장(醬)맛은 시간의 길이와 비례한다는 말이 있듯 햇살과 바람을 맞으며 인내의 시간을 견딘다. "사람도 오랫동안 관심과 사랑을 받으면 아름다워지듯 된장도 오랜 시간 정성껏 관리하다 보면 맛이 더 깊어지죠. 엄선한 콩을 지하 150m 청석 암반층에서 추출한 물로 씻어내고, 가마솥에 씨된장을 넣고 삶아서 만든 메주를 볏짚으로 띄워요. 그 다음 4년간 간수를 뺀 전남 해남산 천일염으로 된장을 담그고 장독에 상황버섯 추출물을 넣어 5년간 숙성시키면서 3년에 한 번씩 덧장을 해요." 상황버섯 균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