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기사

이 기사는 0번 공유됐고 3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구룡공원 공익 매입 김칫국 마시나

지주 "청주시에 매각 생각 없어
남은 땅 맹지 만들려는 속셈"
강제수용 추진 땐 반발 불가피

  • 웹출고시간2019.04.10 21:15:17
  • 최종수정2019.04.10 21:15:17
[충북일보=청주] 청주시와 시민단체가 장기미집행 도시공원 보존·개발에 김칫국부터 마시는 게 아니냐는 평가가 일고 있다.

한범덕 시장은 지난 9일 민간특례 방식으로 개발하기로 한 장기미집행 도시공원(8곳) 중 구룡공원 내 사유지인 생태·환경 중요지역을 자체 예산을 들여 매입하겠다고 밝혔다.

매입비용은 가용재원을 최대한 끌어모으면 100억 원 정도 확보할 것으로 알려졌다.

환경단체 등으로 구성된 '청주 도시공원 지키기 대책위원회'는 시에서 순차적으로 구룡공원 전체를 매입하라고 요구하고 있다.

서로 간 '일부'와 '전체'로 매입 규모에 차이는 있으나 공원 보존을 위해 지방채 발행 등 자체 예산을 들여 사들여야 한다는 생각은 같다.

그러나 가장 중요한 토지 소유자 입장은 전혀 반영되지 않았다. 떡 줄 사람은 생각도 없는데 김칫국부터 마시는 꼴이다.

도시공원으로 묶인 구룡공원 128만9천㎡는 사유지와 국유지, 시유지로 혼재돼 있다. 이 중 사유지는 81.5%(105만㎡)에 달한다.

사유지에서 맹지를 제외한 개발가능성이 있는 토지는 35%(36만㎡)가량이다.

현재 도시공원으로 매매가격은 턱없이 싸지만, 일몰제로 2020년 7월 시설결정이 해제돼 자연녹지로 전환되면 최고 10배가량 지가 상승 가능성이 있다.

수년간 도시공원으로 묶여 재산권 행사를 못 했던 지주들이 이 노른자 땅을 손해를 보면서 시에 넘길 가능성은 희박하다.

지주가 직접 개발하던지, 청주시보다 웃돈을 얹어 줄 민간 개발업자에게 팔 가능성이 크다.

이미 이 같은 분위기는 곳곳에서 감지된다.

시가 매입에 눈독을 들이는 구룡공원 내 한 사유지는 일몰제와 별도로 개인 신청을 통해 조만간 도시공원에서 해제된다.

해당 지주는 직접 땅을 개발할지, 팔지를 고민한다. 땅을 판다면 시와 민간 개발업자 중 땅값을 비싸게 쳐주는 쪽에 넘길 계획이다. 시가 이 땅을 반드시 확보한다는 보장이 없는 것이다.

토지주 A씨는 "남의 땅을 가지고 '보존하라, 매입하라'를 논하지는 모르겠다"며 "가격이 적정하지 않으면 시에 땅을 팔 생각은 없다"고 말했다.

시는 민간 업자에게 땅이 넘어가지 않도록 해제 시효 전까지 실시계획인가를 받아 강제수용도 강행한다지만 투자심사와 예산 확보, 설계, 인가 등 관련 절차를 밟기에는 시간이 촉박하다.

강제절차를 통해 개발가능성이 큰 토지를 매입한다고 해도 다른 지주들의 반발을 감내하기 힘들 것으로 보인다.

시가 자체 예산을 들여 사들이려는 사유지 규모는 5만㎡ 정도로 전체 사유지 4.7% 수준이다. 이 매입한 땅은 개발하지 않고 그대로 보존할 계획이다.

이렇게 됐을 때 인근 지주들의 땅은 맹지로 전락할 수 있어 또다시 재산권을 침해당할 수 있다.

이와 비슷한 경우가 대구에서 벌어졌다. 대구시는 예산부족으로 장기미집행 도시공원인 범어공원(113만㎡) 내 사유지 7%만 매입하려 한다.

지주들은 진입로 등 개발가능성이 있는 땅을 사들려 나머지 땅은 쓸모없는 맹지로 만들려 한다며 거세게 반발하고 있다.

일부 소유주는 자기 땅에 철조망을 설치해 산책로 진입을 막는 등 대구시의 매입 계획에 물리력으로 대응하고 있다.

청주시가 개발가능성이 있는 일부 땅만 매입한다면 구룡공원도 같은 상황이 벌어질 게 분명하다.

애초 민간개발로 구상했던 구룡공원에 혈세를 들여 일부를 매입하겠다는 결정 과정에 토지 소유자 입장이 배제되면서 또 다른 사회적 갈등으로 번질 가능성을 내비치고 있다.

시 관계자는 "일몰제 시행 전까지 기간이 촉박한 것은 사실"이라며 "실시계획인가를 얻을 수 있도록 행정절차를 최대한 단축해 매입을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 박재원기자 ppjjww123@naver.com
배너
배너
배너

랭킹 뉴스

Hot & Why & Only

실시간 댓글

배너
배너

매거진 in 충북

thumbnail 308*171

"대한민국 바이오 산업의 인프라 역할 선도"

[충북일보] "대한민국 바이오 산업의 인프라 역할을 해낼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김동일(56) ㈜키프라임리서치 대표는 준공 이후 한 달도 지나지 않았지만 국내외 관계자들의 방문으로 바쁜 나날을 보내고 있다고 담담히 말했다. 오송캠퍼스에 관심을 갖고 찾아온 미국, 태국, 벨기에, 네덜란드 스위스 등의 신약·백신 개발 관계자들의 견학이 줄을 잇고 있다. 김동일 키프라임리서치 대표가 청주와 바이오업계에 자리를 잡게 된 것은 지난 2020년 7월이다. 바이오톡스텍의 창립멤버인 김 대표는 당시 국내 산업환경에 대해 "이미 성숙단계에 접어든 제조업이 아닌 대한민국에 새로운 성장 동력이 되는 산업이 필요하다"고 판단했다고 한다. 그는 "당시 BT(바이오테크놀로지)와 IT(인포메이션 테크놀로지)라는 두 개의 큰 축이 보였다"며 "이가운데 BT가 글로벌 산업 경쟁력이나 발전 정도·세계 시장 진출 정도로 봤을 때 타 산업 대비 훨씬 경쟁력이 부족했다. 그래서 오히려 기회가 더 많지 않을 것이라는 판단으로 BT를 선택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김 대표가 업계에 뛰어들었을 당시만 하더라도 국내에는 실제로 신약을 개발하는 제약·바이오 분야의 회사들은 국내시장·제네릭 분야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