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기사

이 기사는 0번 공유됐고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이정희

수필가

시래기가 얼추 물렀다. 조반을 먹기 전 끓기 시작한 게 두 시간 남짓이다. 뚜껑을 열고 좀 더 두기로 했다. 김이 서리고 훈훈한 기운이 돈다. 깨끗이 헹궈서 국도 끓이고 나물로 먹으면 한동안은 반찬 걱정 없다.

벼 타작이 끝나면 바깥마당에 짚 낟가리가 쌓인다. 추수가 끝나고 농한기가 되면 아버지는 머슴을 시켜서 짚을 썰도록 했다. 멍석을 깔고 작두를 설치한 뒤 마당 가득 짚북데기를 부려 놓았다. 한 사람은 작두를 밟고 또 한 사람은 짚을 매긴다. 한 번 썰고 그리고는 다시 볏짚을 넣고 그럴 때마다 짚 무더기는 투두둑 잘려나갔다.

소가 먹을 여물거리는 시래기를 엮어 달고 난 뒤에 준비한다. 추워지면 여름내 풀 뜯던 소는 먹을 게 궁해지고 볏짚을 썰어 여물을 만들게 된다. 우리 집 암소 누렁이의 배부른 겨울나기가 시작되는 것이다.

겨울이면 누렁이의 콧김도 한 자는 넘게 서린다. 한 해 농사가 끝나면 줄잡아 석 달 남짓은 휴식에 들어간다. 겨울나기 장비라야 두툼하게 깔아둔 볏짚과 등에 걸친 덕석 한 장 뿐이었으나 아침저녁으로는 뜨거운 여물을 먹을 테니 그만해도 배부르고 호사스럽다.

저녁이면 머슴 아저씨는 사랑채 아궁이에 불을 지피셨다. 김이 오르다 보면 쇠죽 끓는 냄새가 동(動)한다. 깜깜해지도록 푹 삶은 뒤 한 김 나간 여물을 들통에 내 가면 누렁이 암소는 좋다고 법석이다. 구유에 쏟을 때마다 미처 식지도 않은 여물을 먹고는 뜨겁다고 푸푸거리던 암소와 코뚜레도 꿰지 않은 어린 송아지가 지금도 선하다.

나무로 만든 여물통 구유에서는 추울수록 김이 자오록하고 삽시간에 마당으로 흩어진다. 한참 보고 있으면 암탉까지 겅중겅중 바깥마당을 뛰어다녔다. 날씨가 춥다고 등짝에 덮어 준 덕석은 생철 지붕의 함박눈만치나 두툼했건만, 감나무 밑에서는 또 삽살개란 녀석이 뜨악한 표정이다. 여차하면 짖기라도 할 것처럼 귀를 쫑긋 세운 채……

쇠죽과 시래기는 똑같이 오래 삶는다. 겨우내 마른 것을 갑자기 뜨거운 물에 넣으면 오히려 뻣뻣해진다. 불을 지피기 전에 미리 축여 두는 이유다. 특별히 쇠죽은 한참 불린 뒤 삶아야 부드럽다. 소는 어지간히 무른 걸 먹고도 되새김질을 하는 초식동물이다. 가뜩이나 이가 약한데 그렇게 하지 않으면 공들여 쑨 보람도 없이 된다. 다 끓인 뒤에도 얼마 동안 그냥 두면서 먹기 좋게 만드는 쇠죽과 오랜 시간 불려 삶은 뒤에도 금방 헹구지 않고 한참을 담가 두곤 했던 시래기는 보는 것만으로도 따슨 풍경이었다.

대 여섯 번 삶아 먹다 보면 어느 새 해동이 되고 겨울도 저만치 물러났다. 연년이 추워질 때는 그에 묻어나는 추억이 까닭 모르게 그립고 이따금 멀어진 잿빛 향수가 엇갈린다. 고향의 겨울은 쇠죽을 쑤고 시래기 삶는 풍경에 묻어 나온다는 생각이. 냄새는 퀴퀴하지만 순수한 토박이 풍경으로 외양간 소가 울어대는 토담집과 흙벽에 걸려 있던 시래기보다 더 한 것은 없을 거라는 생각이.

눈 감으면 쇠죽을 끓이던 사랑채 아궁이와 그을음 덕지덕지한 흙벽에 달려 있던 시래기 갓이 떠오른다. 삶을 때마다 진동하던 쇠죽과 시래기 특유의 냄새도 그립다. 볏짚을 태우면서 하얗게 벌어지던 튀밥 냄새도 같고 어느 때는 메주 쑤는 냄새 비슷했는데 글쎄, 지금도 쇠죽 쑤는 집이 있을까. 건강식으로 알려진 시래기는 나부터도 열심히 말리고 있으나 소에게 여물 주는 집은 거의 없을 듯하다.

볏짚은 흔해도 썰어서 간수하기가 쉽지 않은 것이다. 이름조차 투박하고 걸쭉한 시래기니 쇠죽 등을 생각하면 자못 향수적인데 오래 전 기억일 뿐이다. 솥에 삶기도 번거롭고 정성스럽게 끓인들 사료에 길들여진 소가 잘 먹기나 할지 그것도 미심쩍다. 먹고 살기 바쁜 사람들에게 인스턴트식품 대신 만들기 힘든 고추장 된장 시래기를 권하는 것과 다르지 않을 테니까.
이 기사에 대해 좀 더 자세히...

관련어 선택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랭킹 뉴스

Hot & Why & Only

실시간 댓글

배너
배너

매거진 in 충북

thumbnail 308*171

정효진 충북도체육회 사무처장, "멀리보고 높게 생각해야"

[충북일보] 정효진 충북도체육회 사무처장은 "충북체육회는 더 멀리보고 높게 생각해야한다"고 조언했다. 다음달 퇴임을 앞둔 정 사무처장은 26일 본보와의 인터뷰에서 "지방체육회의 현실을 직시해보면 자율성을 바탕으로 민선체제가 출범했지만 인적자원도 부족하고 재정·재산 등 물적자원은 더욱 빈약하다"며 이같이 말했다. 완전한 체육자치 구현을 통해 재정자립기반을 확충하고 공공체육시설의 운영권을 확보하는 등의 노력이 수반되어야한다는 것이 정 사무처장의 복안이다. 학령인구 감소에 따른 학교운동부의 위기에 대한 대비도 강조했다. 정 사무처장은 "학교운동부의 감소는 선수양성의 문제만 아니라 은퇴선수의 취업문제와도 관련되어 스포츠 생태계가 흔들릴 수 있음으로 대학운동부, 일반 실업팀도 확대 방안을 찾아 스포츠생태계 선순환 구조를 정착시켜야 한다"고 말했다. 이를 위해선 행사성 등 현장업무는 회원종목단체에서 치르고 체육회는 도민들을 위해 필요한 시책이나 건강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등의 정책 지향적인 조직이 되어야한다는 것이다. 임기 동안의 성과로는 △조직정비 △재정자립 기반 마련 △전국체전 성적 향상 등을 꼽았다. 홍보팀을 새로 설치해 홍보부문을 강화했고 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