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구름조금충주 17.0℃
  • 맑음서산 18.6℃
  • 맑음청주 18.1℃
  • 맑음대전 18.5℃
  • 구름조금추풍령 19.0℃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홍성(예) 18.0℃
  • 맑음제주 21.3℃
  • 맑음고산 18.8℃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제천 17.2℃
  • 구름조금보은 17.3℃
  • 구름조금천안 17.8℃
  • 맑음보령 18.9℃
  • 맑음부여 18.7℃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최근기사

이 기사는 0번 공유됐고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최창중

전 단양교육장·소설가

세월호가 드디어 그 모습을 드러냈군요. 참사 당일의 기억을 상기시키고 있어 많은 사람들이 가슴 아파합니다. 그러나 안타깝게도 또 다른 논란의 시발점이 되고 있네요. 드러난 세월호의 외양이 일각에서 주장한 '외부 충돌'이 있었던 것으로 믿기 어렵기 때문이지요.

"세월호가 괴물체와 충돌해 침몰했다는 의혹을 제기한 사람들은 왜 침묵하고 있습니까·"

인터넷 커뮤니티와 소셜미디어에는 이 같은 지적이 속속 올라오고 있습니다. 침몰 원인을 두고 '잠수함 등 외부 물체와 충돌했을 가능성이 있다'고 주장했던 네티즌 '자로'를 의식한 의견이겠지요. '자로'는 세월호 인양이 시작되자 소셜미디어에 '세월호야 제발' '세월호를 똑바로 세워 좌현을 보고 싶다' '부디 진실이 떠오르기를' 등의 글을 매일 올리더니 선체가 완전히 수면 위로 올라오자 더 이상 글을 올리지 않더니, 얼마 전에야 '결과를 섣불리 단정하는 건 바람직하지 않다. 특조위를 부활시켜야 한다'고 주장했더군요. 세월호 선체에서는 잠수함에 부딪혀 침몰할 정도의 파손 부위는 눈을 씻고 찾아봐도 없는데 자신의 잘못을 인정하지 않는 것이지요.

애당초 관련 분야 전문가도 아닌 사람이 무슨 식견을 가졌다고 잠수함 충돌설을 주장했는지 이해할 수 없습니다. 자로의 침묵이 이어지자 "주장이야 누구나 할 수 있지만, 그에 대한 반증이 나오면 잘못을 인정하거나 해명을 해야 하는 것 아니냐·"는 비판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습니다. 다만, 이 사람과 함께 잠수함 충돌설을 제기했던 이화여대 나노과학부의 김관묵 교수는 '지금으로선 잠수함 충돌이라 보긴 어려울 것 같다'며 에둘러 자신의 잘못을 시인했더군요.

더 책임을 느껴야 하는 곳은 이 자의 주장을 특집으로 내보내 의혹을 증폭시킨 방송사입니다. 해당 방송사는 세월호 인양 후 잠수함 충돌설에 대해선 일절 언급하지 않고 있습니다. 세월호 침몰 직후에도 '다이빙벨'이라는 수중 구조 장비를 쓰면 조류의 세기와 관계없이 20시간 이상 수색 작업을 할 수 있다는 한 민간업자의 주장을 검증 없이 방영해 구조작업에 혼선을 일으켰던 방송사입니다. 해당업자는 바로 천안함 폭침 때 좌초설을 주장했던 사람이고요.

그러고 보니 광우병 사태 때의 괴담이 떠오르는군요. "라면스프와 냉면국물, 젤리나 과자, 떡볶이, 어묵국물, 피자만 먹어도 광우병에 걸릴 수 있다"던 주장이나, "음식뿐만 아니라 화장품, 생리대, 기저귀 등에도 소의 일부가 쓰이기 때문에 광우병의 위험이 있다"는 얼토당토않은 주장들 말입니다.

당시 MBC PD수첩의 주장에 이어 연예인들의 글이 잇달아 온라인상에 올라옴으로써 쇠고기 개방 반대 움직임을 이상한 곳으로 몰고 갔지요. 아직도 기억이 생생합니다. 지금은 이름을 김규리로 개명하여 사용하고 있는 탤런트 김민선은 "미국산 쇠고기를 먹으려면 차라리 청산가리를 먹겠다"고 사람들을 자극했는가 하면, 배우 김혜성과 가수 하리수는 미니홈피의 초기화면에 '광우병을 몰아냅시다'라는 글을 띄웠고, 슈퍼주니어의 김희철은 초기화면에 "흠…이제 뭐 먹고 살지"라며 반대의 글을 올렸지요.

'괴담'은 그 자체가 문제가 아닙니다. 대중의 힘을 얻어 여론이 되는 과정에서 필연적으로 사회적 문제를 발생시키기 때문에 문제인 것이지요. 특히 언론의 경우, 사회적 문제를 발견하면 공개적으로 터놓고 논의를 전개해야지 한쪽의 의견만을 편들어 확인되지도 않은 가설을 진실처럼 포장해 보도하는 것은 분명 경거망동입니다. 한데도, 자신의 주장이 진실이 아닌 것으로 나타났는데도, 침묵하고 있는 당사자들이 참으로 얄밉군요.
이 기사에 대해 좀 더 자세히...

관련어 선택

관련기사

배너

배너


Hot & Why & Only

실시간 댓글


배너

매거진 in 충북

조경순 인구보건복지협회 세종충북지회장 인터뷰

[충북일보] 지난 1961년 출범한 사단법인 대한가족계획협회가 시초인 인구보건복지협회는 우리나라 가족계획, 인구정책의 변화에 대응해오며 '함께하는 건강가족, 지속가능한 행복한 세상'을 위해 힘써오고 있다. 5월 가정의 달을 맞아 조경순 인구보건복지협회 충북세종지회장을 만나 지회가 도민의 건강한 삶과 행복한 가족을 지원하기 위해 하고 있는 활동, 지회장의 역할, 앞으로의 포부 등에 대한 이야기를 들어 봤다. 조경순 지회장은 "인구보건복지협회 충북세종지회는 지역의 특성에 맞춘 인구변화 대응, 일 가정 양립·가족친화적 문화 조성, 성 생식 건강 증진 등의 활동에 앞장서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자신의 33년 공직 경험이 협회와 지역사회의 협력 네트워크를 강화하는 일에 도움이 될 것으로 내다봤다. 충북도 첫 여성 공보관을 역임한 조 지회장은 도 투자유치국장, 여성정책관실 팀장 등으로도 활약하고 지난 연말 퇴직했다. 투자유치국장으로 근무하면서 지역의 경제와 성장에 기여했던 그는 사람 중심의 정책을 통해 충북과 세종 주민들의 행복한 삶과 건강한 공동체를 만드는 일에 참여할 수 있다는 점에 비상임 명예직인 현재 자리로의 이동을 결심했다고 한다. 조 지회장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