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흐림동두천 5.8℃
  • 흐림강릉 6.8℃
  • 서울 10.1℃
  • 흐림충주 6.1℃
  • 흐림서산 6.5℃
  • 흐림청주 8.0℃
  • 흐림대전 7.2℃
  • 흐림추풍령 5.1℃
  • 흐림대구 7.1℃
  • 울산 6.0℃
  • 흐림광주 7.0℃
  • 부산 6.9℃
  • 흐림고창 4.3℃
  • 흐림홍성(예) 7.3℃
  • 흐림제주 9.9℃
  • 흐림고산 9.5℃
  • 흐림강화 6.8℃
  • 흐림제천 3.8℃
  • 흐림보은 5.4℃
  • 흐림천안 5.6℃
  • 흐림보령 5.8℃
  • 흐림부여 5.6℃
  • 구름많음금산 4.6℃
  • 흐림강진군 ℃
  • 흐림경주시 6.4℃
  • 흐림거제 7.5℃
기상청 제공

최근기사

이 기사는 0번 공유됐고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홍성란

작가

논어(論語) 옹야(雍也)편에 '知之者 不如好之者, 好之者 不如樂之者(아는 것은 좋아하는 것만 같지 못하고 좋아하는 것은 즐기는 것만 같지 못하다)'는 말이 있다. 삶을 즐기라는 말씀인데 어떻게 해야 즐길 수 있는가. 즐기는데도 거쳐야하는 여러 단계가 필요하다. 우선 무슨 일이건 관심과 호기심이 있어야하고 다음에 진지하고 성실해야 하며 그다음에는 훈련과 연습을 통해 그 일에 익숙해져야 한다. 그런 후에라야 좋아하고 즐길 수 있다고 한다.

좋아하고 즐긴다는 것, 거기에 도달할 수 있다함은 인간만이 누릴 수 있는 향유의 경지인 것이다. 삶에서 깊은 즐김은 어디에 있을까. 사실 세상에는 할 일이 많고 재미있는 것들이 얼마나 많은가. 시 한 줄 소설 한 귀절 읽지 않고도 한평생 행복하게 잘 살다간 사람들도 많다. 이때 잘 산다는 것은 무엇인가. 어떤 사람들에게 그것은 '많은 돈을 벌고 높은 자리에 올라가는 것이다. 그래서 훌륭한 비석을 남기는 일이다. 그러나 이 비석을 세상 사람들이 부러 찾아와 눈여겨 볼일은 없다.' 그렇다면 의문이 생긴다. 한평생 행복하게 산다는 것은 과연 무엇인가. 이런 물음 없이 우리는 깊은 의미에서 행복하게 살 수 있는가. 아마 그러기는 어려울 것이다. 이 점에서 보면 책을 읽으라는 말 이전에 던져할 것은 '왜 읽는가' 라는 물음이다

책을 왜 읽는가. 이 물음은 사실 삶의 많은 문제가 그러하듯 그물망처럼 얽혀 있다. 거기에는 무슨 책을 읽는 것이 좋은가, 책을 어떻게 읽어야하는가 하는 물음도 이어져 있고 꼭 책을 읽어야하는가, 책은 무슨 쓸모가 있는가라는 문제 제기도 겹쳐져 있다. 그리고 그 각각의 물음에 그 나름으로 답변 할 수 있다면 그 물음의 주체는 이미 상당한 수준에서 읽기의 의미를 파악하고 있음에 틀림없다. 읽는 일에 삶을 바친 사람치고 절절한 영혼이 아닌 경우는 없지 않나싶다. 그들은 글로써, 이 활자로써 세상을 읽고 사람을 더 깊게 이해하면서 삶을 좀 더 고결하게 살고자 꿈꾸기 때문이다.

일예로 우리가 그 무엇을 찬탄할 때 우리의 느낌은 이미 거기에 가 있다. 우리가 책에서 아름다음을 추구한다면 그 추구는 아름다움에 상응하는 마음이, 그런 속성의 일부가 우리 안에 자라나 있기 때문이다. 진실한 사람이 진리를 추구하듯 아름다운 마음이 아름다운 것을 느끼고 생각하고 갈망한다. 그러므로 책읽기에는 우리로 하여금 그 책을 읽게 만드는 그 무엇, 찬탄할만한 것에 대한 숨은 갈망이 있다. 우리는 읽으면서 어떤 다른 삶을 엿보고 어떤 현자(賢者)에 귀 기울이며 또 다른 생활을 추측, 체험한다. 그러면서 삶의 바탕과 세계의 모태 그리고 그 고향을 떠 올린다. 좋은 책과의 만남에는 마음의 이런 깊은 움직임 갈구하는 마음이 자리하는 것이다

책을 읽는다는 것은 세계의 전체와 만남이며 그 전체에 참여하는 일이다. 그것은 거창하다기 보다 사소한 것, 바로 내 곁에 나와 관련하여 자리하는 것일 수도 있다. 지금 여기의 생생한 경험 속에 내가 느끼고 보고 냄새 맡고 접촉하는 모든 것에 지극히 일상적으로 존재한다. 읽기란 이 일상의 전체성에 참여하는 일이다. 그런데 이런 형성의 단계가 하루아침에 이루어 질 수는 없으며 읽기에도 오랜 역사가 필요하다. 시간이 쌓여야만 읽은 내용을 생활의 한가운데로 옮겨 심을 수 있다는 말이다. 혹자는 삶과 책이 이어지지 못하면 진정한 독서의 의미가 있겠냐 하겠지만 우린 소나 말이 아니지 않는가.

지난여름은 징글맞게도 더웠다. 어느 날 갑자기 밤이 가고 아침이 오더니 찬바람이 도적처럼 들이닥쳤고 순간처럼 계절이 바뀌었다. 가을이 왔고 곧 겨울이 다가올 것이다. 내 경우에도 인생의 가을은 어느 날 갑자기 들이닥쳤던 것 같다. 그리고 그 누구도 인생의 가을과 겨울을 피할 수 없다는 데 인간의 유한성을 공감하고 절감했다. 요즈음 내 자신에게 자주 묻는 물음이 있다. 지금 어디로 가고 있는가라는. 즐기며 사는 노력을 하는가라는. 가을이다.
이 기사에 대해 좀 더 자세히...

관련어 선택

관련기사

배너

배너


Hot & Why & Only

실시간 댓글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