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일보] 이재명 대통령이 취임 19일 만에 11개 부처 장관 후보를 지명했다. 64년 만에 민간인 국방장관 후보가 나왔다. 민노총 위원장 출신 장관 후보도 등장했다. 기업가들도 여럿 등용했다. 여러모로 파격적이다. 하지만 이재명 정부에 충북이 보이지 않는다. 충북인사가 한 명도 없다. 앞서 단행된 대통령실 장·차관급 인사 때도 충북 출신은 없었다.
충북 홀대론이 나오고 있다. 이번 인사에서 충북 출신은 사실상 배제됐다. 지역 홀대론이 다시 고개를 드는 이유다. 정치적, 구조적, 지역적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다. 충북은 상대적으로 정치적 영향력이 약하다. 먼저 국회의원 수(2024년 기준 8명)가 적다. 중앙정치에서 지역의 목소리가 작게 반영된다는 의미다. 게다가 정치적 중립지대라는 인식이 너무 강하다. 다시 말해 선거 때마다 스윙보터 역할을 한다. 그러다 보니 정권 차원에서 보은이나 우대를 기대하기 어렵다. 충북을 기반으로 한 인재풀이 부족한 것도 큰 원인이다. 실제로 중앙 무대에서 활약하는 고위 공무원이나 장차관급 인사가 상대적으로 적다. 세종·대전 중심의 행정 집중 현상도 충북의 존재감을 상대적으로 약화시켰다. 지역 언론의 영향력이 상대적으로 작고 약한 것도 이유가 될 수 있다. 실제로 여론 형성력이 크지 않다 보니 정부에 대한 압박력이 부족하다는 평가도 있다. 정리하면 정치적 영향력의 약세, 고위 인재풀 부족, 세종 중심 행정 집중, 지역 내 대표성 부족, 여론 영향력의 미비 등으로 정리할 수 있다. 이런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면서 충북 홀대 현상을 만들었다.
그러나 균형 있는 정부의 정책 성공을 위해 충북 인재 등용은 필수다. 지역 안배 차원에서라도 필요하다. 충북은 새 정부가 들어설 때마다 충북 출신의 중용 당위성을 주장했다. 그러나 이번 이재명 정부의 인선을 보면 충북은 철저하게 배제됐다. 존재감을 찾을 수가 없다. 역대 정권마다 시늉내기 식으로라도 장관을 기용했다. 하지만 이번엔 눈을 씻고 봐도 없다. 존재감 없는 충북으로 전락했다. 정권 차원에서 볼 때 안중에 없는 듯싶다. 문제는 중간 간부진에도 충북 출신이 별로 없다는 점이다. 이들 층이 두터워야 후에 장관이나 차관감이 생길 수 있다. 충북도나 도내 11개 시·군은 국가예산 확보를 위해 늘 필사적인 노력을 벌인다. 그러나 아무리 도지사와 시장 군수들이 노력해도 한계에 봉착한다. 집권 여당과 직접적인 교감을 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일부 단체장들은 더 자주 서울과 세종을 오간다. 하지만 충북인맥이 없다 보니 헛수고일 때가 대부분이다. 그러다 보니 지역에선 충북 정치인들의 역량 부족과 인재 양성 부재에 대한 자성의 목소리가 함께 나오고 있다.
새 정부 첫 내각에 충북 출신 인사 1명은 있어야 한다. 그래야 전체적인 국가 운영에서 균형을 이룰 수 있다. 앞으로 행안·경제·교육·법무부 등 7개 부처 장관 인선이 남아있다. 충북 출신으론 현재 임호선(증평·진천·음성) 국회의원이 유일하게 거론된다. 임 의원은 당내 여러 동료 의원들로부터 추천을 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발탁된다면 행안부장관이 예상된다. 기대에 부응할 충분한 역량을 갖추고 있다. 충북의 인재가 중용돼 지역의 역량이배가되길 소망한다.
이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
<저작권자 충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