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창섭(가운데) 충북대학교 총장이 20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 소통관에서 전·현직 국가거점국립대학교 총장, 시·도교육감들과 기자회견을 열어 국가균형발전을 위해 21대 대통령 후보들이 공약한 '서울대 10개 만들기'와 '서울대와 지역거점대학 간 공동 학위제 활성화' 추진에 대한 협력 의사를 밝히고 있다.
ⓒ충북대학교
[충북일보] 속보=전·현직 국가거점국립대학교 총장, 시·도교육감들이 21대 대통령 선거에서 교육분야 공약으로 제시된 '서울대 10개 만들기'와 '서울대와 지역거점대학 간 공동 학위제 활성화'와 관련 "차기 정부는 국가전략 차원에서 추진해 국가 균형발전을 실현해야 한다"며 "이 경우 적극 협력하겠다"고 밝혔다.<20일 자 2면>
전현직 총장과 교육감들은 20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 소통관에서 정책제안 기자회견을 열고 이같이 밝혔다.
이들은 "그동안 초·중등 교육 현장에서는 강고한 대입 경쟁 체제와 대학 서열화로 인해 유·초·중등 교육이 왜곡돼 왔고 학생, 교사, 학부모를 포함한 모든 교육 주체가 고통으로 내몰리고 있다"며 "사교육 시장에는 급기야 '초등 의대반', '7세 고시반', 심지어 '5세 고시반'까지 등장했다"고 진단했다.
이어 "대한민국에서 출산은 자녀의 행복한 성장을 꿈꾸는 일이 아니라 자녀의 입시 경쟁과 과도한 사교육비 지출을 각오해야만 하는 일이 됐다"며 "서울 소재 몇 개 대학으로 향하는 대입병목 현상이 입시지옥의 실체이며 지역인재의 수도권 집중으로 인해 지역 기업은 구인난을 겪고 지역의 기업 유치는 더욱 어려워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들은 "지역의 9개 거점국립대 중심으로 서울대 수준에 근접하도록 하고 서울대와 협력 체제를 만들어서 캘리포니아대학 체제(UC system)와 같은 동반성장 구조를 만들자"고 제안했다.
또한 "거점국립대와 지역의 국립·사립대학들 간의 '동반성장 대학협력체제'를 만들어야 하고 그것이 거점국립대 지원플랜 속에 함께 포함돼야 한다는 점을 깊이 인식하고 있다"며 "이같은 정책이 추진될 경우 거점국립대학들의 뼈를 깎는 노력이 동반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들은 '서울대 10개 만들기'와 관련 "연구중심대학으로서의 경쟁력과 지역 인재의 저수지 역할을 강화하는 동시에 9개 권역별로 하나의 국립대학시스템을 구축하는 '1도1국립대 체제' 구축을 병행해 추진할 수 있다"며 "수도권과 지역의 학생정원 동률감축, 지역균형선발과 사회통합전형 확대, 특성화·분업체제 구축, 교수·학생 교류 대폭 확대 등 거점국립대학이 앞장서서 전국 대학개혁의 마중물 역할을 해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서울대 10개 만들기'는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후보가, '서울대와 지역거점대학 간 공동 학위제 활성화'는 김문수 국민의힘 후보의 공약이다.
기자회견문에는 고창섭 충북대 총장을 비롯해 양오봉 전북대 총장, 정재연 강원대 총장, 이근배 전남대 총장, 김일환 제주대 총장, 김정겸 충남대 총장, 차정인 전 부산대 총장, 김헌영 전 강원대 총장, 정성택 전 전남대 총장, 김동원 전 전북대 총장, 송석언 전 제주대 총장, 이진숙 전 충남대 총장, 박종훈 경남교육감, 이정선 광주교육감, 김석준 부산교육감, 최교진 세종교육감, 도성훈 인천교육감, 서거석 전북교육감, 김광수 제주교육감, 김지철 충남교육감, 천창수 울산교육감, 김상곤 전 경기교육감, 조희연 전 서울교육감, 민병희 전 강원교육감, 장휘국 전 광주교육감, 김병우 전 충북교육감 등이 이름을 올렸다.
대선특별취재팀 / 안혜주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