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세현 비상계엄 특별수사본부장이 8일 오후 서울 서초구 서울고등검찰청 기자실에서 수사 관련 브리핑을 하고 있다.
ⓒ뉴시스
[충북일보] 윤석열 대통령이 8일 비상계엄과 관련해 내란·직권남용 혐의 피의자로 수사선상에 올랐다.
박세현 검찰 비상계엄 특별수사본부장은 이날 오후 서울 서초구 서울 고검에서 브리핑을 열고 "윤 대통령에 대한 여러 고발장이 제출됐다"며 "고소·고발이 되면 절차상 피의자"라고 밝혔다.
이어 "특수본은 이번 국가적인 중대 사건에 대해 어떤 의혹도 남지 않도록 모든 노력을 다할 것"이라며 "지위고하를 막론하고 오로지 법과 원칙에 따라 엄정하게 수사를 진행하고 있으므로 국민 여러분께서는 믿고 지켜봐 주시기를 바란다"고 강조했다.
박 본부장은 이번 사건에 대해 "한마디로 쉽게 말하면 공무원이 직권을 남용해 국헌을 문란하게 할 목적으로 폭동을 일으킨 것이 이 사건의 사실관계"라며 "직권남용죄와 내란죄 두 가지 혐의 모두에 대해서 수사 중"이라고 설명했다.
경찰청 국가수사본부가 검경 합동수사본부를 거절한 것에 대해 "앞으로도 필요한 소통을 계속하면서 경찰의 합동수사 제안이 있다면 언제든 응할 용의가 있다"며 "이 사건 가장 많은 관련자가 경찰로 군은 군검찰이 합동수사를 진행하고 있고 핵심 인물인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은 검찰에 체포돼 조사를 진행 중이다. 경찰 관련된 분들은 경찰이 수사하는데 그 또한 혐의가 있다면 검찰에 송치돼야 한다"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초동수사를 누가하느냐가 중요하다 생각하지 않다"며 "검찰은 군검찰과 합동 수사를 진행하고 있고 경찰도 사안의 중대성과 효율적 수사 등 측면에서 좋은 방안을 저희와 계속 협의해 나가길 바란다"고 말했다.
특수본은 박 본부장과 김종우 서울남부지검 2차장을 중심으로 서울중앙지검 이찬규 공공수사1부장, 최순호 형사3부장, 최재순 대검 범죄정보2담당관과 검사 20명, 수사관 30명에 더해 국방부에서 12명 규모의 인원을 파견받아 60여명 규모로 꾸려졌다.
특수본은 계엄선포 닷새만인 이날 새벽 김용현 전 국방부장관을 긴급체포하고 늦어도 내일 안으로 구속영장을 청구한다는 방침이다.
김 전 장관은 특수본 조사를 마친 후 서울 동부구치소에 수감됐다. 서울 / 최대만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