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기사

이 기사는 0번 공유됐고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웹출고시간2019.03.12 15:14:53
  • 최종수정2019.03.12 19:49:35
[충북일보] 500년 간 지속된 조선왕조를 공부할 때 당쟁(黨爭)과 사화(士禍)는 흥미롭지만, 이해하기 쉽지 않았다. 당쟁이 정치발전에 도움을 줬다는 역사학자들의 주장도 선뜻 이해하지 못했다.

임진왜란과 병자호란 등 국가적 위기 속에서도 사라지지 않았던 당쟁. 이로 인한 숱한 사화가 어쩌면 동방의 작은 나라 대한민국을 세계의 변방으로 전락시킨 원인이 됐다는 주장이 그나마 설득력 있게 다가왔다.

예견된 여권의 분화

집권 여당은 카리스마를 가진 이해찬 대표 취임 이후 적어도 하나의 결사체로 보여질 만큼 단결된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그러나 이는 겉 흐름에 불과하다.

친문(친문재인)과 비문의 갈등은 이미 예견된 문제였고, 앞으로 더욱 확산될 수 있는 시한폭탄과 같은 사안으로 볼 수 있다.

유력한 잠룡으로 거론됐던 안희정 전 충남지사와 이재명 경기지사, 박원순 서울시장, 김경수 경남지사, 임종석 전 청와대 비서실장 등의 행보를 보면 쉽게 파악될 수 있는 문제다.

권력이 집중된 여당은 늘 분화를 경험했다. 이명박 정부의 친이(친이명박)와 친박(친박근혜)을 비롯해 박근혜 정부의 친박과 비박 등이 대표적인 사례다.

조선시대도 마찬가지였다. 동·서 붕당 후 북인과 남인, 노론과 소론까지 분화의 역사는 상당히 오랜 역사를 갖고 있다.

내년 총선을 앞두고 충북을 비롯한 전국의 각 선거구마다 출마예정자가 봇물을 이루고 있다. 주로 여권 후보를 희망하는 사람들이 많다. 상대적으로 야권은 몇명 되지 않는다.

박근혜 정부에서 김무성 전 대표의 '옥쇄 파동'은 역사의 한 페이지를 장식했다. 공천심사위원장인 이한구 전 의원의 '딜리버리(Delivery) 파동'은 우리의 저급한 정치수준을 보여준 사례다.

후보가 몰릴 여권의 최근 내부흐름이 심상치 않다. 장관에 차출됐던 현역 국회의원들의 복귀에 80년 대 학생운동을 주름잡던 이른바 '386 세대'의 대거 귀환도 예정돼 있다.

박영선 의원의 장관 발탁으로 잠잠해 보이는 친문·비문 갈등도 여전하다. 이를 비판하고 싶지는 않다. 오히려 자연스러운 현상으로 보는 것이 더 정확할 수 있다.

내년 총선을 1년가량 남겨두고 지역에서도 유력 인사들의 발걸음이 빨라지고 있다. 이미 일부 단체장의 경우 총선 출마를 위한 사퇴를 준비하고 있다는 얘기도 들린다.

'3선 연임' 제한 규정에 해당되는 이시종 충북지사의 뒤를 노리는 '포스트 이시종' 논란도 지역 정·관가 안팎에서 종종 회자되는 메뉴다.

이를 바라보는 호사가들은 그럴싸한 시나리오를 만들어 낸다. 그러면서 '삼인성호(三人成虎)' 격으로 가상의 차기 도지사와 청주시장, 지역구 국회의원을 만들어내고 있다.

문제는 이 같은 시나리오 대부분은 정치의 속성과 민심(民心)의 흐름을 제대로 읽어내지 못하고 있다는 점이다.

아직도 여당 간판만 있으면 국회의원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하는 사람이 적지 않다. 여당 지지율이 하락하면서 야당에게 다시 기회가 주어지고 있다고 오판하는 사람들은 더 많다.

선거는 항상 최상의 카드를 선택하는 게임이 아니었다. 최상보다는 차악(次惡)을 선택하는 게 지금까지의 경험이라는 사실은 여의도 정가에서 누구나 알고 있는 얘기다.

'빅 3 갈등' 봉합해야

민선 7기 지방선거에서 충북은 여당 일색으로 변했다. 이시종 충북지사와 한범덕 청주시장은 모두 여당 소속이다. 당적을 가질 수 없는 김병우 충북교육감 역시 여당은 아니지만, 여당과 철학을 공유하는 진보성향의 교육감이다.

그러나 충북의 '빅 3 단체장'은 유기적인 협조체계를 보여주지 못하고 있다. 도정과 시정, 도정과 교육, 시정과 교육 등 3박자가 제대로 맞지 않는 모습이다. 자신들에게 주어진 시간이 얼마 남지 않았음을 빨리 깨달아야 한다.

그리고 '빅 3 단체장'은 최근 일련의 갈등을 서둘러 봉합해야 한다. 시간이 길어질수록 사람들은 이렇게 말한다.

'도대체 니들끼리 왜 그래~.'
배너
배너
배너

랭킹 뉴스

Hot & Why & Only

실시간 댓글

배너
배너

매거진 in 충북

thumbnail 308*171

"대한민국 바이오 산업의 인프라 역할 선도"

[충북일보] "대한민국 바이오 산업의 인프라 역할을 해낼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김동일(56) ㈜키프라임리서치 대표는 준공 이후 한 달도 지나지 않았지만 국내외 관계자들의 방문으로 바쁜 나날을 보내고 있다고 담담히 말했다. 오송캠퍼스에 관심을 갖고 찾아온 미국, 태국, 벨기에, 네덜란드 스위스 등의 신약·백신 개발 관계자들의 견학이 줄을 잇고 있다. 김동일 키프라임리서치 대표가 청주와 바이오업계에 자리를 잡게 된 것은 지난 2020년 7월이다. 바이오톡스텍의 창립멤버인 김 대표는 당시 국내 산업환경에 대해 "이미 성숙단계에 접어든 제조업이 아닌 대한민국에 새로운 성장 동력이 되는 산업이 필요하다"고 판단했다고 한다. 그는 "당시 BT(바이오테크놀로지)와 IT(인포메이션 테크놀로지)라는 두 개의 큰 축이 보였다"며 "이가운데 BT가 글로벌 산업 경쟁력이나 발전 정도·세계 시장 진출 정도로 봤을 때 타 산업 대비 훨씬 경쟁력이 부족했다. 그래서 오히려 기회가 더 많지 않을 것이라는 판단으로 BT를 선택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김 대표가 업계에 뛰어들었을 당시만 하더라도 국내에는 실제로 신약을 개발하는 제약·바이오 분야의 회사들은 국내시장·제네릭 분야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