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기사

이 기사는 1번 공유됐고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뇌과학자 구상 세종 스마트시티, 시민 반응은 '싸늘'

"대도시도 아닌데 편리한 개인차 두고 공유차 왜 타"
용도지역 폐지도 도시계획 형평성,땅값 산정 등 문제
금강·미호천 만나 경관 우수,9천여 가구 2020년 분양

  • 웹출고시간2018.07.18 17:16:04
  • 최종수정2018.07.18 17:16:04

세종시 5-1생활권 스마트시티 조성 대상지 위치도.

ⓒ LH(한국토지주택공사)
[충북일보=세종]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과 LH(한국토지주택공사)가 2030년을 목표로 지난 2007년부터 단계적으로 만들고 있는 세종 신도시(행정중심복합도시)에서는 '스마트시티'란 단어가 전혀 생소하지 않다.

6개 광역생활권 별로 기능이 특화되면서 건축을 비롯해 스마트시티의 구성 요소가 되는 각종 첨단기술이 이미 적용되고 있기 때문이다.

이런 가운데 세종 5-1생활권과 부산 에코델타시티를 각각 '스마트시티 국가 시범도시'로 지정한 정부는 최근 이들 도시에 도입할 기본 구상을 공개했다.

세종의 경우 기존 생활권에 도입된 내용들보다 훨씬 파격적이다.

하지만 대다수 시민 반응은 싸늘하다. '지역 실정이나 시대 흐름에 맞지 않은 채 지나치게 앞서가는 구상'이라는 게 주된 이유다.

세종 스마트시티 조성 총괄책임자인 정재승 카이스트 교수.

ⓒ 카이스트
◇땅 용도지역도 폐지

세종 스마트시티 계획은 뇌과학자인 정재승(46) 카이스트 교수가 총괄책임자(마스터플래너·MP)를 맡아 기본 구상을 마련했다.

도시 비전으로는 '시민 행복을 높이고 창조적 기회를 제공하는 지속가능한 도시 플랫폼'이 제시됐다.

정 교수는 4차산업혁명위원회와 국토교통부 공동 주최로 지난 16일 서울 상암 디지털미디어시티(DMC)에서 열린 세종 스마트시티 기본 구상안' 발표회에서 2가지 파격적 도시 조성 방안을 제시해 눈길을 끌었다.

세종시 5-1생활권 스마트시티 기본 구성안.

ⓒ 카이스트 정재승 교수
첫째,공유(共有) 자동차 기반 도시다.

개인 소유의 모든 자동차는 5-1생활권 진입로 입구에 주차하고, 스마트 도시 안에서는 △자율주행차량 △공유차량 △자전거 등으로 이동토록 한다는 것이다.

둘째, 토지의 용도지역(用途地域)을 없앤다. 대신 리빙(Living),소셜(Social), 퍼블릭(Public) 등 3가지로 구분하되 가변적·통합적으로 이용토록 하겠다는 것이다.

여기에서 △리빙은 주택,사무실,소규모 근린생활시설 △소셜은 리빙에 인접한 유치원,공원,소규모 공연장,체육시설 △퍼블릭은 학교,도서관,병원,컨벤션센터 등이 들어서는 지역이다.

현재 전국의 모든 땅은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에 따라 4가지 용도지역(도시,관리,농림,자연환경보전)으로 구분된다.

또 경관,미관,고도,방화 등 10가지 용도지구로 세분화된다.

이 밖에 정 교수는 △혁신 경제 생태계 구축 △데이터 기반 도시 운영 △시민주도형 도시 문제 해결 등의 방안도 제시했다.

◇시민 반응은 대체로 '싸늘'

스마트시티 조성 사업을 맡는 LH에 따르면 세종5-1생활권은 연동면 합강·용호리 일대 274만1천㎡,목표 인구는 2만2천585명(9천34가구)이다.

정부는 이번에 발표한 기본 구상안을 바탕으로 올해말까지 계획 수립을 완료, 내년 상반기까지 실시설계를 거쳐 하반기에 기반 공사가 시작되도록 할 방침이다.

아파트 공사와 분양은 2020년께 가능해질 전망이다.

행복도시건설청이 당초 마련한 신도시 건설 기본계획에 따르면 5생활권(1~3 기초생활권)은 '의료·복지' 기능을 중심으로 조성될 에정이었다.

신도시 6개 생활권 가운데 착공 시기는 가장 늦으나, 금강 본류와 지류(미호천)가 만나는 곳에 위치해 경관은 매우 뛰어난 편이다.

하지만 정부가 이번에 발표한 세종 스마트시티 기본 구상에 대한 시민들의 반응은 대체로 싸늘하다.

2가지 파격적 도시 조성 방안이 현실과 너무 동떨어져 있다는 것이다. 유진선(42·주부·세종시 한솔동)씨는 "서울같은 대도시처럼 교통이 혼잡하지 않은 세종에서 편리한 개인 승용차를 두고 공유차량이나 자전거를 이용하는 사람이 얼마나 될지 의문"이라고 했다.

실제 국토교통부가 지난 2016년 4월 전국 첫 카셰어링(Car Sharing·차량 공유) 시범 도시로 선정한 세종시에서는 그 해 7월부터 2개 민간업체가 사업을 시작했다.

하지만 현재 대다수 시민은 이 사업이 지역에서 시행되고 있는 지도 모르는 실정이다.

용도지역을 없애는 문제도 간단치 많다.

세종시내 다른 지역과의 도시계획 상 균형 유지, 전국 다른 지역과의 형평성, 땅값 산정 등에서 혼선이 빚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행복도시건설청 공무원 출신인 김 모(65·세종시 도담동) 씨는 "세종 신도시는 각계의 수많은 전문가가 오랜 기간 계획을 세운 뒤 건설 중인데도 많은 시행착오가 나타나고 있다"며 "도시계획이나 건설 분야 연구 경험이 없는 뇌과학자가 단기간에 만들어 낸 구상안이 과연 국민들에게 얼마나 먹혀들지 걱정"이라고 밝혔다.

세종 / 최준호기자 choijh5959@hanmail.net
ⓒ 국토교통부
배너
배너
배너

랭킹 뉴스

Hot & Why & Only

실시간 댓글

배너
배너

매거진 in 충북

thumbnail 308*171

충북일보가 만난 사람들 - 단양교육지원청 김진수 교육장

[충북일보] 몇 년동안 몰아친 코로나19는 우리 나라 전반에 걸처 많은 염려를 낳았으며 이러한 염려는 특히 어린 아이들에게 실제로 학력의 위기를 가져왔다. 학력의 저하라는 위기 속에서도 빛나는 교육을 통해 모범 사례로 손꼽히는 단양지역은 인구 3만여 명의 충북의 동북단 소외지역이지만 코로나19 발 위기 상황에서도 잘 대처해왔고 정성을 다하는 학교 지원으로 만족도도 최상위에 있다. 지난 9월 1일 자로 단양지역의 교육 발전에 솔선수범한 김진수 교육장이 취임하며 앞으로가 더욱 기대되고 있다. 취임 한 달을 맞은 김진수 교육장으로부터 교육철학과 추진하고자 하는 사업과 단양교육의 발전 과제에 대해 들어 본다. ◇취임 한 달을 맞았다, 그동안 소감은. "사자성어에 '수도선부(水到船浮)'라는 말이 있다. 주희의 시에 한 구절로 강에 물이 차오르니 큰 배도 가볍게 떠올랐다는 것으로 물이 차오르면 배가 저절로 뜨더라는 말로 아무리 어렵던 일도 조건이 갖춰지면 쉽게 된다는 말로도 풀이할 수 있다. 교육장에 부임해 교육지원청에서 한 달을 지내며 교육장의 자리가 얼마나 막중하고 어려운 자리인가를 느끼는 시간이었다. 이렇게 어렵고 바쁜 것이 '아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