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일보] 고혈압 치료제로 사용되는 원료의약품 중 중국산 '발사르탄'(Valsartan)'에서 발암물질 작용 가능성이 있는 불순물이 확인됐다. 유럽의약품안전청(EMA)이 이 같은 결과를 발표하자 식품의약품안전처도 지난 7일 해당 원료를 사용한 국내 제품에 대해 잠정 판매중지 및 제조·수입 중지를 조치했다. 이번에 검출된 불순물 'N-니트로소디메틸아민(N-Nitrosodimethylamine, NDMA)'은 WHO 국제 암연구소(IARC) 2A(인간에게 발암물질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는 물질) 분류된 물질이다. 국내 판매중지 및 제조중지 대상이 되는 제품은 해당 '발사르탄'을 원료로 사용할 수 있도록 허가된 82개사 219품목이다. 식약처는 중국 '제지앙 화하이(Zhejiang Huahai)'사에서 제조한 해당 원료를 잠정 수입중지 및 판매중지 조치도 했다. 식약처는 현재 원인·발생시기 등 같은 불순물 관련 조사를 벌이고 있으며, 조사 결과에 따라 회수·폐기 등 필요한 후속 조치를 신속히 취할 예정이다. 앞서 유럽의약품안전청은 중국산 'N-니트로소디메틸아민'의 검출량, 복용한 환자에 미치는 영향 등을 검토 중이며 예방조치로서 지난 5일 회수 중임을
[충북일보] 서울~세종 간 고속도로 건설사업은 경기도 구리시 토평동부터 세종시까지 연결하는 191㎞의 고속도로를 건설하는 사업이다. 서울시 강동구 길동, 명일동, 고덕동 일대 지하를 대형 터널을 통해 관통한다는 계획으로 강동구 주민들이 고속도로 우회를 요구하고 있다. 현재 오는 2017년 예산안에 서울~안성 구간의 건설보상비 1천억원이 편성됐으며 전체 예산규모는 6조7천억 원이다. 정부는 사업기간 단축을 위해 서울~안성 구간(71.1㎞)은 도로공사에서 착수 후 민자사업으로 전환하고, 안성~세종(57.7㎞)은 처음부터 민자사업으로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서울~세종고속도로는 지난 2009년 건설계획이 최초로 제시됐으나 주민 반대와 사업방식에 대한 정부 내 이견으로 수차례 지연됐다. 그러다 지난 2015년 11월부터 국토교통부가 사업 추진을 서두르고 있다. 이런 가운데 국회가 서울~세종고속도로 사업진행 방식 자체에 대해 제동을 걸었다. 이는 당장 오는 2017년 관련 예산 편성 뿐만 아니라 고속도로 착공 자체도 상당기간 지연될 가능성이 높아 보이는 대목이다. 국회 예산정책처는 '2017년도 예산안 위원회별 분석' 책자를 통해 "설계비·공사비
[충북일보] 1983년 청주 중앙공원에 세워진 '어린이 동시비'가 청주시의 관리 부실로 분실되는 어처구니 없는 상황이 빚어졌다. 이 비는 당시 청주JC가 평곡석재로부터 원석을 기증받고, 조각가 김수현 충북대 교수의 재능 기부로 만든 조형물로 중앙공원 내에 있는 어떤 석재비보다 예술성이 뛰어나다는 평가를 받았다. 좌대 높이 1m, 본체 높이 2m 등 3m에 이르는 대형 조각품인 데다 김수현 조각가가 심혈을 기울려 '어린이들이 꿈을 활짝 펴라'는 의미로 태양 모양을 조각해 예술 작품으로 손색이 없는 조형물이었다. 특히 동화 작가 유영선씨가 동시를 쓰고, 서예가 운곡 김동연씨가 글씨를 써 음각된 작품으로 재료비를 빼고도 당시 예산만 1천여만 원이 투입됐다. 이 조형물은 이 곳에 있던 어린이 놀이터가 철거되면서 청주JC가 어린이들에게 꿈과 희망을 주기 위해 김현배 당시 회장의 제의로 세워져 청주시에 기증됐다. 중앙공원에는 국가 보훈처 지정 현충시설인 '의병장 한봉수 송공비', 충북 기념물 23호 '청주 척화비', 1949년도에 세워진 '대한민국 독립기념비', 충북 유형 문화재 136호 '조헌 전장 기념비', '청주시민의 노래비',
[충북일보] 1차 산업인 농업은 충북의 경제의 근간으로서 오랜 시간 지위를 공고히 했다. 하지만 산업화, 정보화 등 격변하는 세태와 맞물려 농업은 설 자리를 잃었고, 그 자리를 제조, 관광, 서비스업 등 2~3차 산업이 점령하게 됐다. 농업에도 변화가 필요한 시대다. 단순히 땅과 인력, 4계절 자연환경에 기대서는 살아남을 수 없다. 충북농업기술원은 1~3차 산업을 망라한 '6차 산업'으로서의 농업을 꽃피우기 위해 다각도로 노력하고 있다. 차선세 충북농업기술원장은 지난 2015년 8월 부임해 2년 가까이 신품종 개발과 확산 등 충북농업의 선진화를 위해 힘썼다. 차 원장을 만나 그간 충북농업기술원이 진행해 온 농업선진화 사업과, 향후 진행 예정인 사업에 대해 들어봤다. ◇지난해 사업 성과와 올해 신규 사업은 "충북농업기술원의 지난해 투입된 사업비 규모는 총 445억 원으로, 충북 농업의 기술과 농업인들의 소득 향상에 기여했다. 주요 성과는 약용작물 중 잔대 '하랑'을 신품종 등록했으며 수박 등 6건에 대한 품종도 출원했다. 또한 '갈색거저리 유충함유 스프레드 제조방법' 등 7건에 대해 특허를 출원했고, '하우스형 접이식 농작물 건조대' 등 16건에 대해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