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기사

이 기사는 0번 공유됐고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웹출고시간2018.01.16 12:48:37
  • 최종수정2018.01.16 12:48:37
개헌(改憲)은 국가의 기틀을 바꾸는 일이다. 여당은 6월 지방선거와 동시투표를 주장한다. 반면, 제1 야당인 자유한국당은 12월 투표로 맞선다.

개헌 여론이 70%를 넘어서고 있는 상황에서 여야의 이견은 좁혀지지 않고 있다.

개헌 투표시기 갈등

2004년 노무현 전 대통령에 탄핵 역풍이 불면서 한나라당은 폭망했다. 지역구 100석에 비례 21석 등 121석을 얻는데 그친 반면, 여당인 열린우리당은 지역구 129석에 비례 23석 등 모두 152석을 차지했다.

당시 충북에서도 지역구 8명 모두 열린우리당이 석권했다. 오죽했으면 당시 상황에 빗댄 '탄돌이'라는 말이 유행했을까.

원내 152석의 거대정당으로 변신한 열린우리당은 자만했다. 기세등등한 여당은 국민의 시선은 아랑곳하지 않았다. 급기야 분당과 통합을 반복했다.

18대 총선에서 통합민주당은 지역 66석과 비례 15석 등 81석에 그쳤다. 폭망했던 한나라당은 지역 131석과 비례 22석 등 모두 153석으로 부활했다.

정치는 살아서 움직인다. 단 한 순간도 독주를 허용하지 않는다.

지난 2016~2017년 국민들은 분노했다. '최순실 게이트'에 대한 분노는 대통령 탄핵으로 이어졌다. 현직 대통령은 곧바로 영어(囹圄)의 몸이 됐다. 그럼에도 호가호위(狐假虎威) 세력은 반성하지 않았고, 조기대선으로 정권마저 잃었다.

이 상황만 놓고 보아도 오는 6월 지방선거는 야당에 유리할리 없다.

통상적으로 선거에서 참패하면 권토중래(捲土重來)를 꿈꾸며 한껏 몸을 낮춘다. 그러나 한국당은 통상의 이런 생각과 다른 방향으로 나가고 있다. 당내 화합은 물론, 집권 여당과 프레임 경쟁에서도 한참 뒤진다.

그 중심에 홍준표 대표가 있다. 당 내부 뿐 아니라 상당수 국민들도 잘 알고 있다. 홍 대표는 툭하면 '좌파 정권'을 운운한다. 몇몇 젊은 국회의원들도 정부 여당의 모든 행정과 철학을 '주사파 정부'로 규정하는데 급급하다.

우리나라를 지탱하는 주도세력은 중장년층이다. 진보·보수 개념이 확실한 청년과 노인층과 달리 중장년층은 늘 실용적 판단을 내린다. 40~50대의 중장년층은 과거 386세대가 주축을 이루고 있다.

그들에게 이념 공세는 한창 동떨어진 얘기다. 경제와 민생, 자녀교육 등 구체적이고 디테일한 정책에 대해 호불호가 분명한데도 한국당은 오로지 '좌파 메뉴'만 거론할 정도로 빈곤한 철학을 보여주고 있다.

개헌 찬성 여론이 70% 이상에 달한다. 6월 지방선거와 동시투표를 해야 한다는 여론도 50%를 넘어서고 있다.

상황이 이런데도 한국당은 6월 동시 투표를 반대한다. 반대는 할 수 있다. 그런데 구체적인 이유를 국민들이 알도록 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300석 중 개헌 저지선(2/3)인 100명 이상의 의원을 보유한 한국당의 몽니로 비춰질 수 있다.

정부 여당도 이를 모를 리가 없다. 국민 다수가 찬성하는 6월 동시투표를 야당이 반대하면 할수록 여당에게 유리해진다는 셈법이 읽혀진다.

'촛불둥이'의 탄생 임박

보수층에서는 박근혜 전 대통령을 '정통보수'라고 믿었다. 그런 박 전 대통령도 지난 2012년 대선에서 경제민주화 등 중도확장 공약을 대거 제시했다.

이런 상황에서 차세대 대통령 이미지 구축에 나서고 싶을 홍 대표의 행보는 점점 오른쪽이다. 중도층의 생각과 동떨어졌음에도 그의 말대로 '도꾸다이'는 계속되고 있다.

이런 태도 때문에 문재인 정부의 실정을 비판해 얻을 수 있는 반사이익이 한국당에 흡수되지 않는다는 사실을 홍 대표는 모르는 것 같다.

'덧셈정치'를 통해 세력을 확장해야 하는데 홍 대표는 '뺄셈정치'에 익숙해 보인다.

이미 죽은 '친박'을 제거하고 '친홍'을 구축하면 대통령이 될 수 있다고 착각하고 있는 것은 아닌지 되묻고 싶다. 이런 추세라면 6월 선거에서 과거 '탄돌이'와 비슷한 '촛불둥이'가 대거 탄생할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배너
배너
배너

랭킹 뉴스

Hot & Why & Only

실시간 댓글

배너
배너

매거진 in 충북

thumbnail 308*171

"대한민국 바이오 산업의 인프라 역할 선도"

[충북일보] "대한민국 바이오 산업의 인프라 역할을 해낼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김동일(56) ㈜키프라임리서치 대표는 준공 이후 한 달도 지나지 않았지만 국내외 관계자들의 방문으로 바쁜 나날을 보내고 있다고 담담히 말했다. 오송캠퍼스에 관심을 갖고 찾아온 미국, 태국, 벨기에, 네덜란드 스위스 등의 신약·백신 개발 관계자들의 견학이 줄을 잇고 있다. 김동일 키프라임리서치 대표가 청주와 바이오업계에 자리를 잡게 된 것은 지난 2020년 7월이다. 바이오톡스텍의 창립멤버인 김 대표는 당시 국내 산업환경에 대해 "이미 성숙단계에 접어든 제조업이 아닌 대한민국에 새로운 성장 동력이 되는 산업이 필요하다"고 판단했다고 한다. 그는 "당시 BT(바이오테크놀로지)와 IT(인포메이션 테크놀로지)라는 두 개의 큰 축이 보였다"며 "이가운데 BT가 글로벌 산업 경쟁력이나 발전 정도·세계 시장 진출 정도로 봤을 때 타 산업 대비 훨씬 경쟁력이 부족했다. 그래서 오히려 기회가 더 많지 않을 것이라는 판단으로 BT를 선택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김 대표가 업계에 뛰어들었을 당시만 하더라도 국내에는 실제로 신약을 개발하는 제약·바이오 분야의 회사들은 국내시장·제네릭 분야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