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기사

이 기사는 8번 공유됐고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허정회

충북도 교통물류과장

철로 위에서 "나 다시 돌아갈래"를 외치는 배우 설경구의 모습은 한국 영화사의 명장면으로 꼽힌다. 영화 제목이 '박하사탕'이라는 것을 아는 이들은 많지만, 이 장면이 충북선 철도역 중 하나인 삼탄역(충주 산척)에서 촬영된 것을 아는 이들은 많지 않다. 충북선 철도는 조치원에서 제천까지 충북 산업발전의 중추라는 자부심을 품고 100년 가까이 달리고 있다.

충북선 철도는 일제강점기 1921년 조치원~청주 구간이 우선 개통됐다. 1928년 충주를 거쳐 광복 이후 1958년 제천 봉양까지 연결됐고 1980년 복선화와 2004년 전철화 사업을 거쳐 지금의 모습을 갖추게 됐다. 충북선은 권역별 거점지역의 도시화와 공업화를 촉진하며 충북 발전을 이끄는 산업철도로의 역할을 했지만 조금은 부족했다는 시각도 있다.

하지만 충북선의 위상과 역할에 획기적인 변화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충북선 철도 고속화 사업'은 올해 1월부터 기재부의 예비타당성조사가 진행 중이다. 이 사업은 충북선 고속화 사업은 최고속도를 120㎞/h에서 230㎞/h로 고속화해 청주~제천간은 85분에서 50분으로 35분 정도로 줄일 수 있는 사업이다. 1단계 사업은 청주공항~충주구간 고속화 및 중앙선과 연결하는 봉양연결선 신설이 주요 내용이다. 예타를 통과하면 기본계획을 수립하고 설계에 착수해 2024년 완공 가능하다. 2단계는 충주~제천구간을 고속화하고 호남고속선·충북선을 연결하는 오송연결선과 중앙선·원강선(원주~강릉)을 연결하는 원주연결선을 신설하는 사업으로 이는 목포~강릉을 직접 연결하는 강호선(강원~충청~호남) 철도의 구축을 의미한다.

충북선 고속화와 강호선 철도 구축을 통해 국가X축 고속철도망이 완성된다면 경부축에 집중됐던 인구·경제 등 주요 인프라와 성장거점이 강호축(강원·충청·호남)으로 확산되고, 강호축은 지역균형발전과 국가 제2도약을 견인할 수 있는 신(新)발전축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것이다. 강원권 접근성이 개선돼 막대한 예산이 투입된 평창동계올림픽 시설의 사후 활용도를 높이고, 인근 지역의 공항이용 수요 흡수를 통한 청주국제공항의 중부권 거점공항 도약 등 향후 대한민국의 발전축과 경제·사회·문화 지형에 큰 변화를 가져올 것이다.

필자는 교통부서에서 오랜기간 근무를 했다. 1999년 충북선에 무궁화호 유치, 2004년 전철화 사업 등 당시 느낀 보람과 감동이 생생하다. 예타 과정에 어려움이 있겠지만, 충북 북부권을 비롯한 국가균형발전의 시발점이라는 생각으로 최선을 다할 것이다.

철길이 두 개인 이유는 멀고 험한 길일수록 둘이서 함께 가야 한다는 의미를 담고 있지는 않을까? 충북선 고속화를 위한 충북도의 노력에 162만 도민의 관심이 함께 한다면 충북이 '대한민국 고속철도의 중심'이 되는 그 날이 올 것이다.
배너
배너
배너

랭킹 뉴스

Hot & Why & Only

실시간 댓글

배너
배너

매거진 in 충북

thumbnail 308*171

"대한민국 바이오 산업의 인프라 역할 선도"

[충북일보] "대한민국 바이오 산업의 인프라 역할을 해낼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김동일(56) ㈜키프라임리서치 대표는 준공 이후 한 달도 지나지 않았지만 국내외 관계자들의 방문으로 바쁜 나날을 보내고 있다고 담담히 말했다. 오송캠퍼스에 관심을 갖고 찾아온 미국, 태국, 벨기에, 네덜란드 스위스 등의 신약·백신 개발 관계자들의 견학이 줄을 잇고 있다. 김동일 키프라임리서치 대표가 청주와 바이오업계에 자리를 잡게 된 것은 지난 2020년 7월이다. 바이오톡스텍의 창립멤버인 김 대표는 당시 국내 산업환경에 대해 "이미 성숙단계에 접어든 제조업이 아닌 대한민국에 새로운 성장 동력이 되는 산업이 필요하다"고 판단했다고 한다. 그는 "당시 BT(바이오테크놀로지)와 IT(인포메이션 테크놀로지)라는 두 개의 큰 축이 보였다"며 "이가운데 BT가 글로벌 산업 경쟁력이나 발전 정도·세계 시장 진출 정도로 봤을 때 타 산업 대비 훨씬 경쟁력이 부족했다. 그래서 오히려 기회가 더 많지 않을 것이라는 판단으로 BT를 선택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김 대표가 업계에 뛰어들었을 당시만 하더라도 국내에는 실제로 신약을 개발하는 제약·바이오 분야의 회사들은 국내시장·제네릭 분야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