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기사

이 기사는 22번 공유됐고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웹출고시간2017.06.06 15:32:46
  • 최종수정2017.06.06 15:32:46

편집자

밥의 사전적 정의는 쌀, 보리 등의 곡식을 씻어 솥 따위의 용기에 넣고 물을 알맞게 부어 낟알이 풀어지지 않고 물기가 잦아들게 끓여 익힌 음식이다. 밥은 우리나라 대다수 국민들이 무언가를 씹을 수 있을 때부터 먹기 시작해 더 이상 씹을 수 없게 될 때까지 평생을 먹는 음식이기도 하다.

맛을 느끼는 미각은 개인의 경험과 주관에 따라 달라지지만 갓 지은 '밥'에 대한 이미지는 크게 다르지 않다. 윤기가 자르르 흐르는 밥에 김이 모락모락 올라올 때 한술 크게 떠 입에 넣어본 사람이라면 밥만 먹어도 맛있다는 말에 수긍할 것이다. 많게는 하루 세끼씩, 일생을 먹으면서도 질리지 않고 밥을 먹을 수 있는 이유는 첨가할 수 있는 다양한 재료뿐 아니라 함께 먹는 음식에 따라 다른 맛을 내기 때문이 아닐까.

충청북도에서는 지난 2013년부터 최고 품질의 쌀을 이용해 정성스럽게 밥을 짓는 업소를 '밥맛 좋은 집'으로 선정하고 있다. 2017년 현재까지 도내 103개소의 밥맛 좋은 집이 선정된 상태다. 그들이 밥맛에 집중하는 이유는 무엇인지, 어떤 음식들과의 색다른 궁합을 만들어내는지 밥맛 좋은 집 대장정을 시작해본다.
밥맛 좋은 집 - 7. 청주 미원면 '이티성영토'

청주 미원면과 내수읍을 연결하는 이티재 정상에 이티성영토가 있다.

[충북일보] 청주 미원면과 내수읍을 연결하는 고개를 이티재라 부른다. 그 고개에 '이티성영토'가 있다. 오는 손님들마다 이티가 내려오냐고 묻는 통에 메뉴판 앞장에 이티재의 유래를 적었다. 과거 워낙 높았던 이 고개는 90세 노부와 70세 아들이 이틀을 걸려 넘었다 하여 이틀재로 불리다 이티재로 변했다고 한다.

이 높은 곳을 먼저 마음에 담은 건 김성환 대표였다. 공기 좋은 곳에서 미래의 전원생활이라도 꿈꾸듯 이곳을 아내 장미숙씨에게 소개했다. 쌀 도매업에 한창 매달려있던 15년 전쯤의 일이다.

부부는 마트를 운영했었다. 평범한 마트에서 새로운 사업으로 전환한 건 김 대표의 발상이었다. 이따금 쌀을 찾는 손님들로부터 착안했다. 당시만 해도 마트에서 쌀을 파는 경우는 거의 없었다. 쌀은 쌀집에서 사는 게 당연했다. 수요가 있다고 확신한 김 대표는 마트에 쌀을 들여놓기 시작했다. 마트에서 쌀을 찾는 이들은 생각보다 많았다. 40kg씩 사는 게 당연했던 시대가 변해가고 있었다. 간편하게 쌀을 구매하는 이들은 보다 적은 양을 원했다.

장미숙 대표가 갓 지은 곤드레 밥을 들어 보이고 있다.

김 대표 부부는 고객들의 요구를 그냥 지나치지 않았다. 쌀을 구매해 소포장하기 시작했다. 이전에 볼 수 없었던 포장 단위로 쌀을 나눴다. 도정한지 얼마 지나지 않은 쌀을 금방 소비할 수 있도록 한거다. 소포장한 쌀을 유통할 거래처를 찾았다. 주식인 쌀을 그렇게 조금씩 살 사람이 있겠냐며 시큰둥하던 이들도 늘어나는 수요에 자세를 바꿨다. 청주 전역은 물론 대전까지 거래처가 늘었다.

그렇게 쌀과 함께한 세월이 20여년이다. 많은 브랜드를 내놨고 누구보다 바쁘게 쌀을 옮겼다. 세상은 또 변했다. 도시락은 급식으로 대체된 지 오래고 1인 가구들은 기하급수적으로 늘었다. 부부는 쌀과의 이별을 선택했다. 일에 대한 권태보다는 함께한 직원들에 대한 의리 때문이었다. 10년 15년을 함께한 이들이었다. 쌀 소비량이 줄면서 줄어드는 거래처를 직원들에게 모두 넘기고 손을 털었다.

사업 구상에 일가견이 있는 김 대표는 아내의 손맛으로 눈을 돌렸다. 먹는 사람마다 칭찬일색이었던 솜씨에 가장 어울리는 음식을 찾아낸 것도 그였다. 전국을 다니며 기획한 결과물은 곤드레 밥과 연잎 밥 정식이다. 이티성영토의 주변 풍광에 어울리는 건강한 밥상이다.

손님들이 부부의 성(?)을 알아주기까지 1년여의 시간이 걸렸다. 찾아오지 않는 한 걸음하기 어려운 위치다. 미원과 내수를 오가는 이들, 인근 골프장을 찾았던 이들, 초정 약수에 다녀가는 이들이 한 번씩 들르다 이티성영토에 오기 위해 지인들을 데려오면서 비로소 자리를 잡았다.

20년 이상 쌀을 만지던 이들이다. 쌀에 대한 안목은 의심할 여지가 없다. 도정한지 오래지 않은 쌀을 사용함은 기본이다. 색과 향만으로도 좋은 쌀을 알아보는 이들이다. 좋은 쌀에 사계절 내내 생곤드레를 넣으니 밥만 먹어도 맛있다. 급랭 시켜둔 곤드레 덕에 겨울에도 푸른 밥을 받아드는 손님들은 밥상에 생기가 넘친다며 만족을 표한다.
찹쌀을 이용하는 연잎 밥도 인기다. 돌솥을 이용하는 곤드레 밥과 달리 연잎에 쪄내는 방식이다. 누룽지가 없음을 서운해 하는 손님들이 많아 따로 누룽지를 눌러 숭늉을 대접한다. 향긋한 연잎차도 이티봉의 공기만큼이나 달다.

중장년층만 가득했던 가게는 어느 순간 젊은 사람들이 절반 이상 자리를 채운다. '집밥'과 멀어진 대신 외식 메뉴로 건강한 음식을 찾는 연령층이 낮아진 모양이다. 여러 요리대회에서 상을 거머쥔 인증받은 맛이다. 공기 좋고 물 좋은 곳에서 먹으면 그 맛이 배가되는 건 당연하지 않을까.

/ 김희란기자 khrl1004@nate.com
이 기사에 대해 좀 더 자세히...

관련어 선택

관련기사

이 기사 주변 소식 더 자세히 보기
현재위치
배너
배너
배너

랭킹 뉴스

Hot & Why & Only

실시간 댓글

배너
배너

매거진 in 충북

thumbnail 308*171

정효진 충북도체육회 사무처장, "멀리보고 높게 생각해야"

[충북일보] 정효진 충북도체육회 사무처장은 "충북체육회는 더 멀리보고 높게 생각해야한다"고 조언했다. 다음달 퇴임을 앞둔 정 사무처장은 26일 본보와의 인터뷰에서 "지방체육회의 현실을 직시해보면 자율성을 바탕으로 민선체제가 출범했지만 인적자원도 부족하고 재정·재산 등 물적자원은 더욱 빈약하다"며 이같이 말했다. 완전한 체육자치 구현을 통해 재정자립기반을 확충하고 공공체육시설의 운영권을 확보하는 등의 노력이 수반되어야한다는 것이 정 사무처장의 복안이다. 학령인구 감소에 따른 학교운동부의 위기에 대한 대비도 강조했다. 정 사무처장은 "학교운동부의 감소는 선수양성의 문제만 아니라 은퇴선수의 취업문제와도 관련되어 스포츠 생태계가 흔들릴 수 있음으로 대학운동부, 일반 실업팀도 확대 방안을 찾아 스포츠생태계 선순환 구조를 정착시켜야 한다"고 말했다. 이를 위해선 행사성 등 현장업무는 회원종목단체에서 치르고 체육회는 도민들을 위해 필요한 시책이나 건강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등의 정책 지향적인 조직이 되어야한다는 것이다. 임기 동안의 성과로는 △조직정비 △재정자립 기반 마련 △전국체전 성적 향상 등을 꼽았다. 홍보팀을 새로 설치해 홍보부문을 강화했고 정